유엔 안보리, AI 규제 시동...'국제 통제 기구' 창설 이견 / YTN

유엔 안보리, AI 규제 시동...'국제 통제 기구' 창설 이견 / YTN

가짜 뉴스 등 부작용이 커지고 있는 인공지능 AI에 대한 규제를 유엔 안보리가 처음 논의했습니다. br br 국제 통제 기구 창설 방안이 거론됐는데 서방 선진국 기술 패권 유지에 이용될 수 있다며 중국과 러시아가 이견을 제시했습니다. br br 이종수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지난 5월 22일 SNS에서 급속하게 퍼져나간 사진입니다. br br 첨부된 글에는 '속보 펜타곤 근처에서 폭발'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br br 뉴스처럼 포장된 사진과 글이 전 세계로 확산하면서 미 증시 S&P 지수가 한때 0.3나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br br 이 보다 두 달 전에는 인공지능으로 만든 가짜 트럼프 전 대통령 사진 때문에 큰 소동이 났습니다. br br AI에 의한 가짜 사진, 가짜 정보 폐해가 커지면서 세계적으로 규제가 필요하단 목소리가 커졌습니다. br br 이러면서 유엔 안보리가 AI 규제를 놓고 처음으로 머리를 맞댔습니다. br br AI 위험성 관리 유엔기구 창설이 거론됐습니다. br br [제임스 클레버리 영국 외무장관 : 국경 없는 혁신 기술 AI에 대한 글로벌 정부 거버넌스 형성이 시급합니다.] br br 유엔 사무총장도 지지 입장을 밝혔습니다. br br [안토니우 구테레스 유엔 사무총장 : AI 기술 관리를 위한 집단 노력 지원을 위해 새 유엔 기구를 설립해야 한다는 일부 회원국들 제안을 환영합니다.] br br 하지만 러시아와 중국은 각각 AI 규칙의 일방적 적용, 일부 선진국을 위한 배타적 틀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br br [장쥔 유엔주재 중국대사 : 일부 선진국들은 배타적 그룹을 만들어 다른 나라 기술 발전을 악의적으로 방해하기 위해 다양한 구실로 행동합니다.] br br 이처럼 AI 국제 통제기구 창설을 놓고 서방국과 중국, 러시아의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유엔은 관련 논의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br br YTN 이종수입니다. br br 영상편집 : 이자은 br br br br br YTN 이종수 (jslee@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

Uploaded: 2023-07-20

Duration: 02:0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