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증가속도 세계 두 번째...모두 긴축인데 왜 한국만? / YTN

가계부채 증가속도 세계 두 번째...모두 긴축인데 왜 한국만? / YTN

지난해 전 세계적으로 긴축이 본격화되며 집집 마다 갚아야 할 대출 이자 부담이 커졌습니다. br br 그런데 우리나라 가계 대출 증가 속도는 유독 빨랐는데, 이유가 뭘까요? br br 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우리 경제 뇌관으로 꼽히는 눈덩이 가계 부채. br br GDP 대비 부채 비율은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습니다. br br 전 세계적 긴축 기조 속에 이자 부담이 늘면서 빚이 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유독 부채 부담 증가 속도가 더 빨랐습니다. br br 코로나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부채 증가 폭이 가장 높았고, br br 모두가 긴축에 나선 지난해에도 호주 다음으로 빚 부담이 빨리 늘어, 가뜩이나 지지부진한 성장의 발목을 잡을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br br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 (GDP 대비 가계부채가) 지금 103 이상이 됐는데 이 비율이 계속 늘어난다면 우리 경제의 큰 불안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를 더 키울 수 없는 것이 너무나 뚜렷한 사실입니다.] br br 부동산 투자를 위한 거액 대출 수요가 높았던 게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힙니다. br br 최근 5년 사이 이른바 '영끌족'이 크게 늘었는데, br br 실제로 이 기간 빚을 낸 가구의 자산이 빚을 내지 않은 가구에 비해 크게 늘었습니다. br br [김규정 한국투자증권 자산승계연구소장 :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대출을 이용한 레버리지 효과가 극대화되고 부동산 자산 가치가 오르면서 다소 무리한 대출을 이용해서 자산 투자를 적극적으로 하는 대출자가 크게 늘었습니다.] br br 코로나로 수출과 성장이 더뎌지며 은행이 못 받을 위험이 큰 기업 대출보다 수익성이 좋고 안전한 가계 대출을 더 선호했던 것도 한몫했습니다. br br 다른 나라에 비해 신용 대출 장벽이 낮고 만기 연장이 쉬운 것도 가계 대출 증가 속도를 부추겼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br br [강환구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금융통화연구실장 : 대출 시점, 종류에 따라 상당수 대출이 이를(DSR 규제를) 적용받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신용대출에 대한 금융 현장의 관행이 상대적으로 완화적인 편이어서 가계 대출에 대한 증가 속도를 제어하지 못한 점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br br 고금리에 잠깐 주춤하나 싶더니 최근 다시 몸집을 불리기 시작한 가계 대출을 고려하면 규제 완화에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br br YTN 김지선입니다. br br br br br br br YTN 김지선 (sunkim@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414

Uploaded: 2023-07-21

Duration: 02:2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