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북 미군 송환 시일 걸릴 듯...지금까지 살아 돌아온 월북 미군은 단 1명 / YTN

월북 미군 송환 시일 걸릴 듯...지금까지 살아 돌아온 월북 미군은 단 1명 / YTN

판문점 견학 중 자진 월북한 미 육군 트래비스 킹 이병과 관련해 미국 정부가 모든 채널을 가동하고 있지만, 아직 북한의 응답이 없는 상태입니다. br br 이런 가운데 지금까지 자진 월북한 미군 가운데 살아서 돌아온 미군은 단 1명뿐이어서 킹 이병 송환에도 시간이 걸릴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br br 신현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br [기자] br 지난 1965년 자신의 부대가 베트남 전쟁에 동원될 것이란 소식을 듣고 월북했던 찰스 젠킨스 씨. br br 북한의 지령에 따라 납북된 일본인 여성과 결혼한 뒤 북한 정권을 찬양하는 선전도구로 쓰이다 39년이 지난 2004년에야 북한을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br br 그리고는 이렇게 울먹였습니다. br br [찰스 젠킨스 미군 (2004년 귀국 기자회견) : 오늘은 제 삶 마지막 장의 첫날입니다. 남은 생을 아내와 아이들과 함께 여기에서 살고 싶습니다.] br br 그나마 자진 월북한 미군 가운데 살아 돌아온 건 젠킨스 씨가 유일합니다. br br 1962년 월북한 제임스 드레스녹 일병은 평생을 북한 정권을 찬양하는 영화배우로 활동하다 2016년 뇌졸중으로 숨졌습니다. br br 북한은 군인이 된 드레스녹 일병의 아들 인터뷰까지 공개하며 체제선전에 열을 올렸습니다. br br 비슷한 시기인 1960년대에 월북했던 래리 압시어와 제리 패리시 등은 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1979년과 1982년 북한에 들어간 로이 정 일병과 조셉 화이트 이병 모두 숨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br br 최근 판문점을 견학하다 북한으로 넘어간 트래비스 킹 이병과 관련해 미국 정부는 모든 채널을 동원하고 있지만, 별 소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br [매슈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 (지난 24일) : 우리는 킹 이병의 안전에 대한 정보를 원했습니다. 그러나 북한으로부터 어떤 응답도 받지 못했습니다.] br br 북한은 이번에도 킹 이병을 처벌하기보다는 선전도구로 활용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br br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미 제국주의자가 인민의 낙원을 찾아왔다. 그래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북한 매체 방송에 세워서 기자회견을 한다든지 하면서 계속해서 선전에 활용할 수 있고.] br br 장기적으로는 킹 이병을 미국과의 협상 카드로 활용할 수도 있지만, 현재 북미 간의 대화가 단절됨 등을 고려하면 성과가 나오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br br YTN 신현준입니다. br br br br br br br YTN 신현준 (shinhj@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7.6K

Uploaded: 2023-07-29

Duration: 02:3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