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누리, 달 착륙 후보지 남극점 고해상도 촬영 성공 / YTN

다누리, 달 착륙 후보지 남극점 고해상도 촬영 성공 / YTN

대한민국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가 발사된 지 1년이 됐습니다. br br 발사 1년을 맞아 다누리가 영원히 태양 빛이 닿지 않는 달의 영구음영지역을 촬영한 사진들을 공개했습니다. br br 달의 극지방은 우리나라의 유인 달 착륙 후보지이기도 한데요, 양훼영 기자가 소개해드립니다. br br [기자] br 달 남극점에서 160km 떨어진 '아문센 분화구'입니다. br br 다누리가 달의 남극으로 비행하며 촬영한 고해상도 영상으로, 분화구 주변에 검고 어두운 지역을 볼 수 있습니다. br br 영원히 태양 빛이 닿지 않는 영구음영지역입니다. br br 특히 이 사진 속에는 두 곳의 달 착륙 후보지가 있는데, 수직 방향 촬영과 달리 사각으로 촬영한 덕분에 착륙지 표면이 어떤 모습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br br 달 남극점 근처 또 다른 분화구인 스베드럽 분화구. br br 분화구 내 영구음영지역을 NASA 섀도우캠이 촬영한 것으로, 이렇게 많은 수의 소형 분화구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 확인됐습니다. br br 이번엔 얼음 형태로 다량의 물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달 북극의 '에르미트A 분화구' 모습입니다. br br 고해상도카메라와 섀도우캠이 동시에 촬영했는데, 섀도우캠이 촬영한 사진은 아직 분석 중입니다. br br [김은혁 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 : (영구음영지역의) 내부 구조를 알아내는 게 궁금한 것 중 하나였는데, 다누리에 있는 탑재체 중에서 섀도우캠과 고해상도 카메라(LUTI)를 동시에 촬영해서 두 개의 자료를 합해서 사용한다면 이 지역에 대한 연구를 더 많이 할 수 있습니다.] br br 다누리는 달의 대표적인 자기 이상 지역인 '라이나 감마 스월'을 광시야 편광카메라로 촬영한 것은 물론 달의 앞면과 뒷면의 경계에 위치해 평소 관측이 어려웠던 분화구의 다양한 지형을 고해상도로 담아내는 데 성공했습니다. br br 또, 올해 1월부터 3개월 동안 다누리의 감마선분광기가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만든 달 표면 토륨 원소지도 초안도 공개했습니다. br br 하루 12번씩 달 상공 100km 위를 돌고 있는 다누리. br br 임무 기간이 2025년 12월까지 2년 연장된 만큼 앞으로 다누리가 보여줄 다양한 과학적 성과는 더욱 늘어날 전망입니다. br br YTN 사이언스 양훼영입니다. br br br br br YTN 양훼영 (hwe@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415

Uploaded: 2023-08-07

Duration: 02:1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