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 실적 악화일로...업계 "해외 차입 허용해야" / YTN

카드사 실적 악화일로...업계 "해외 차입 허용해야" / YTN

카드사 실적이 연일 악화하는 가운데 자금 조달 창구인 여전채 금리도 나날이 치솟고 있습니다. br br 이 때문에 업계에선 외화채 차입을 단계적으로 허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br br 엄윤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소비자들에게 혜택이 많은 이른바 '혜자카드'가 줄줄이 단종되고, 6개월 무이자 할부 서비스도 보기 어려워진 요즘. br br 배경에는 카드업계의 수익성 악화가 있습니다. br br 실제로 올해 상반기 카드사들의 순이익은 지난해보다 10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br 고금리에 조달 비용이 오른 영향이 가장 컸습니다. br br 고객의 카드 이용액 증가에 따른 수입보다 자금을 마련하는 데 드는 비용이 더 많이 든 겁니다. br br 여기에 부동산 PF 부실 우려와 새마을금고 사태까지 겹쳐 여전채 금리까지 다시 치솟으면서 카드사 입장에선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br br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정부가 해외 채권 차입의 신규 발행을 허용해 조달 구조를 다변화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br br 지난 2015년 정부가 카드사의 외화 차입을 제한하는 행정 조치를 종료했지만, 여전히 신규 발행에 한해서는 사실상 기재부의 승인을 얻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br br [카드업계 관계자 : 국내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2금융권의 채권 시장이 되게 미미하기 때문에 결국에 신규 조달을 위해서 해외로 눈을 놀릴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기재부 승인 사항인 관계로 실제로 거의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br br 하지만 지금처럼 원화 가치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외화 채권 도입을 자유롭게 하면 금융시장의 불안 요인을 키운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습니다. br br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 채권 발행을 통해서 조달되는 달러는 금리 변동과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현재와 같이 수요가 증가했다 하더라도 이를 전면적으로 허용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br br 이에 대해 기획재정부는 외화채 신규 발행을 무작정 막는 건 아니라면서도 거시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서 업계와 지속적으로 협의해나가겠다고 설명했습니다. br br YTN 엄윤주입니다. br br br 영상편집 : 전자인 br br 그래픽 : 지경윤 br br br br br br YTN 엄윤주 (eomyj1012@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91

Uploaded: 2023-09-07

Duration: 02:1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