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수지 석 달 연속 흑자..."변수는 국제유가" / YTN

경상수지 석 달 연속 흑자..."변수는 국제유가" / YTN

7월 경상수지 흑자, 6월보다 22억 달러 이상 감소 br 한국은행 "흑자 폭, 1년 전보다 18억 달러 늘어" br "1년 전보다 흑자 폭 커진 건 올해 처음" br 한은 "국제 유가 상승세, 경상수지 흑자에 제약"br br br 국제 교역의 최종성적표인 경상수지가 석 달째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br br 다만 흑자 폭은 크게 줄었는데요. br br 한국은행은 교역 사정이 점차 나아지리라면서도, 국제유가의 오름세를 변수로 꼽았습니다. br br 나연수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7월 경상수지도 지난 5월과 6월에 이어 석 달째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br br 흑자 규모는 35억 8천만 달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도 넉 달 연속 플러스입니다. br br 표면적으론 수익이 더 많지만, 들여다보면 좋은 신호만 있는 건 아닙니다. br br 수출은 1년 전보다 87억 넘게 줄어 11개월 연속 뒷걸음질 쳤습니다. br br 승용차 수출 호조에도 반도체와 석유제품 중심으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br br 그런데도 상품수지가 흑자를 낼 수 있었던 건, 수입액이 1년 전보다 135억 달러, 더 큰 폭으로 급감했기 때문입니다. br br 우리 국민이 해외에서 번 돈에서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번 돈을 뺀 본원소득수지 흑자 폭도 줄었고, br br 우리 국민의 해외여행이 늘면서 서비스 수지는 25억 달러 이상 적자를 냈습니다. br br 이에 따라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지난 6월보다 22억 달러 넘게 줄었습니다. br br 한국은행은 그러나 1년 전 17억 달러에서 흑자 폭이 18억 달러 더 늘어난 데 주목했습니다. br br 1년 전과 비교해 흑자 폭이 커진 건 올해 들어 처음이라며, 하반기 이런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br br [이동원 한국은행 금융통계부장 : 44분기 되면 수출 증가율이 플러스로 전환될 것으로 지금 보고 있습니다. 경기가 둔화하고 있다가 지금 회복되는 상황이지 우리 경제가 지금 불황에 빠진 상황은 아니다….] br br 다만 최근 국제 유가의 가파른 상승세가 앞으로도 이어진다면, 원유 관련 수입액이 급증하면서 경상수지 흑자를 제약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br br YTN 나연수입니다. br br br 영상편집 : 김희정 br br 그래픽 : 박유동 br br br br br YTN 나연수 (lhw90@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3

Uploaded: 2023-09-08

Duration: 01:5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