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뒤도 노인 500만 명 빈곤상태…해소 대책은?

30년 뒤도 노인 500만 명 빈곤상태…해소 대책은?

30년 뒤도 노인 500만 명 빈곤상태…해소 대책은?br br [앵커]br br 우리나라는 '선진국 클럽'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회원국이지만 부끄러운 지표 중 회원국내 최상위권인 것이 몇 개 있죠.br br 노인빈곤율도 그 중 하나인데요.br br 여러 정책적 노력에도 30년 뒤 역시 노인 4명 중 1명은 빈곤할 것으로 전망됩니다.br br 배삼진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빈곤'의 기준은 소득순위 한 가운데인 중위소득의 50 이하입니다.br br 재작년 기준선은 1인당 월소득 132만원, 부부가 함께 사는 경우 163만원입니다.br br 여기에 해당하는 노인의 비중, 즉 노인빈곤율은 37.6.br br 10년째 꾸준히 하락했지만, 여전히 OECD 평균 3배에 가깝습니다.br br 소득 증가와 정책적 노력으로 노인 빈곤율은 2075년 26.34까지 낮아질 전망입니다.br br 하지만 노인 4명 중 1명은 여전히 빈곤상태인 겁니다.br br 65세 이상 인구는 내년 1,000만명을 넘은 뒤, 2050년엔 1,900만 명으로 불어납니다.br br 빈곤노인이 500만 명에 이르는 겁니다.br br 그런데 전문직, 사업 등 예외적 경우나 부동산 등 자산소득이 없다면 고령자들은 공적연금에 의존할 수밖에 없습니다.br br 하지만 지속 가능성이나 빈곤 해소책으론 한계가 뚜렷합니다.br br 기초연금을 지금처럼 65세 이상 70에게 계속 지급할 경우, 작년 624만 명인 수령인구는 2050년 1,330만 명으로 불어나고 재정지출도 급증합니다.br br 국민연금도 30년 가입시 평균 수령액이 127만원에 그쳐 노인빈곤 해소를 위해선 두 제도 모두 개편과 보완이 불가피합니다.br br "기초연금을 훨씬 더 두텁게 대상은 줄이면서 최저 보장 소득으로 전환해 가자. 소득 기준으로… 중간층 이상의 분들도 국민연금만으로는 부족하거든요. 퇴직연금을 연금으로 발전시켜놔서 두 연금을 합산해서"br br 특히. 국민연금 수급연령이 68세로 올라가면 최소 8년의 소득 공백이 생기는 만큼, 정년연장이나 노인일자리 확대 등 이를 메울 대책 역시 마련돼야 합니다.br br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baesj@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3

Uploaded: 2023-09-09

Duration: 02:3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