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안 그래도 어려운데 돈까지 내라? 선 넘은 어플 횡포 / YTN

[자막뉴스] 안 그래도 어려운데 돈까지 내라? 선 넘은 어플 횡포 / YTN

네 살과 다섯 살 자녀를 키우는 어머니는 최근 병원에서 아이들 감기 진료를 받지 못했습니다. br br 병원 진료 예약 때 써왔던 앱 '똑닥'이 유료로 바뀌면서 쓰지 않고 있는데, 집 주변 병원들이 대부분 이 앱으로만 예약을 받기 때문입니다. br br 현장 접수는 앱으로 예약한 사람이 제시간에 오지 않았을 때만 가능하지만, 아픈 아이를 데리고 기약 없이 기다릴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br br [어머니 A 씨 : 만약에 예를 들어 오전 진료를 50명 볼 수 있으면 '똑닥'으로 50명 접수가 완료되면 아예 접수창구를 닫아 버리셔서 중간에 10시에 가서 진료를 보고 싶다고 해도 접수조차 안 되고.] br br 주변 병·의원의 위치를 알려주고 예약을 돕는 앱 '똑닥'은 서비스를 시작하고 7년간 무료였다가 이번 달부터 한 달에 천 원, 1년에 만 원씩 이용료를 부과했습니다. br br 그런데 진료뿐만 아니라 예방접종도 이 앱을 통해서만 예약할 수 있는 병원이 많다 보니, 수요자들은 불편을 호소합니다. br br [아버지 B 씨 : 국가에서 필수로 접종하는 예방접종을 사기업에서 이렇게 통제를 당하는 느낌이라 이게 맞나 싶은 생각이 조금 들긴 들더라고요.] br br 결국, 아이가 아프면 울며 겨자 먹기로 돈을 내고 앱을 이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br br [어머니 C 씨 : 아이가 아프니까 결제를 한 것 같아요. 모든 부모는 다 똑같다고 생각해요. 아이가 아프니까 내 아이 먼저 예약해야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죠.] br br 전국 병원 만여 곳과 환자 천만 명이 '똑닥'에 가입돼 있는데, br br YTN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있는 소아·청소년과 의원 23곳을 무작위로 선정해 문의한 결과, 예약이 불가한 8곳을 제외하고 나머지 15곳은 모두 이 앱을 통해서만 예약을 받고 있었습니다. br br 병원들은 앱만으로도 예약이 빨리 찰 만큼 이용자들의 반응이 좋다고 설명합니다. br br [소아 청소년과 병원 관계자 : (전화 예약이나 이런 것도 가능한가요?) 전화는 안 돼요. ('똑닥'으로만?) '똑닥'.] br br 업체 측은 적자가 누적돼 이용료를 받게 됐다면서 추가 인상은 없을 거라고 밝혔습니다. br br 주무 부처인 보건복지부는 해법을 고민하고 있다면서도, 병원 예약 플랫폼 사업은 의료법상 제재 대상이 아니라 규제가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br br 그러나 앱 게시판에는 소아청소년과 폐원이 잇따르며 가뜩이나 진료를 받기 어려워졌는데 이제는 돈까지 내고 예약해야 하느냐며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78

Uploaded: 2023-09-13

Duration: 02:3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