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고양이 68만 마리…“소중한 생명” vs “골칫거리”

길고양이 68만 마리…“소중한 생명” vs “골칫거리”

ppbr br [앵커]br최소 68만마리로 추산되는 길고양이를 두고, 곳곳에서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br br공생해야 하는 생명이다, 아니다 골칫거리다, 주민들의 찬반 의견이 갈립니다. brbr김태우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brbr[기자]br고양이 한 마리가 풀숲을 유유히 지나갑니다. br br사람이 익숙한 듯 다가가도 도망가지 않습니다. br br이 공원에 사는 길고양이입니다. br br일부 주민들에겐 반려동물이나 마찬가집니다. br br고양이를 돌본다며 사료와 물통을 곳곳에 갖다놨습니다. br br[이순이 인천 남동구] br"소중한 생명이고 다 같은 생명인데 돌봐주면 좋겠죠. 좋은 일 하신다고 생각해요." br br골칫거리라는 하소연도 만만치 않습니다. br br쓰레기 봉투를 헤집고 새벽때마다 울어대기 때문입니다. brbr반려동물 출입이 금지된 공원 체육시설인데요. 바닥에 고양이가 남긴 사료가 흩어져 있습니다.br br[지역 주민] br"아파트 쪽에 놓는 건 별로일 것 같아요. (급식소를) 하나씩 짓다 보니까 (고양이가) 더 늘어나는 것 같고, 거기서 울더라고요." br br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것으로 추산되는 길고양이는 최소 68만 마리.brbr중성화 수술 등이 진행 중이지만 개체수 조절엔 역부족입니다. br br급기야 한 지자체는 직접 고양이 급식소를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brbr먹이를 찾아 온 길고양이를 포획해 중성화 수술을 한 뒤 방사할 계획입니다. brbr전국 최초로 길고양이 보호 조례가 발의된 곳도 등장했습니다. br br하지만 2천 건 넘는 찬반의견이 팽팽하게 맞서면서 끝내 결론을 내지 못했습니다. br br[김철환 천안시의회 경제산업위원회 위원장] br"어느 한쪽 편에 서서 지자체 차원에서 그걸 결정하기에는 너무 어려움을…" br br길고양이를 놓고 고민이 깊어지는 가운데 정부는 연말까지 길고양이 돌봄 가이드 라인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br br채널A 뉴스 김태우입니다. br br영상취재 강철규 br영상편집 이승은br br br 김태우 기자 burnkim@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6

Uploaded: 2023-09-15

Duration: 01:5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