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진료 확대 검토...의료계 반대 걸림돌 / YTN

비대면진료 확대 검토...의료계 반대 걸림돌 / YTN

정부가 환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외진 지역의 의료공백을 줄이기 위해 비대면진료 확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br br 하지만 안전성을 이유로 의사협회가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서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조용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지난 6월과 7월에 시범 사업으로 진행한 비대면진료는 섬이나 벽지 거주자와 첫 진료 뒤 한 달이 넘지 않은 재진 환자만 대상으로 했습니다. br br 시범 사업 기간 동안 비대면진료를 이용한 사람은 한 달 평균 13만 3천여 명. br br 한시적으로 초진까지 허용했던 코로나19 유행 당시보다는 30 넘게 줄어든 수치입니다. br br 비대면진료를 받은 사람들은 60대가 가장 많았고, 50대가 뒤를 이었습니다. br br 질병 가운데는 고혈압과 급성기관지염, 당뇨병을 이유로 비대면진료를 받은 사람이 70를 훌쩍 넘었습니다. br br 보건복지부는 시범 사업 결과와 각 분야의 의견을 들으며 비대면진료의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br br 거리상 외딴 지역이나 시간상 휴일과 야간의 의료공백을 줄이는 동시에, br br 직접 대면의 장점이 적은 환자를 중심으로 더 편리하게 진료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입니다. br br [박인수 보건복지부 2차관 : 시범사업의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는 (비대면진료) 입법을 잘 보완할 수 있도록" + "데이터와 결과물을 가지고 점검을 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br br [안기종 한국환자단체협회 대표 : 빨리 바꿔서 의료취약지 중심으로 비대면진료를 통해서 접근성이 보완될 필요가 있는 곳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것 같고요.] br br 하지만 의료계는 환자에 대한 안전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습니다. br br 또 비대면으로 본인 확인이 어렵고, 고위험 비급여 약의 유통 창구가 될 수 있다는 우려를 지적하고 있습니다. br br [이정근 대한의사협회 부회장 : 관절 부분을 두들겨 볼 수도 없고 이런 모든 걸 다 못하잖아요. 그런 상태에서 진단을 내린다고 했을 때 확실하게 정확한 진단이 될 수가 없다고 보죠.] br br 정부가 의료계의 강한 반대를 넘어 비대면진료 범위를 확대해 나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br br YTN 조용성입니다. br br br 촬영기자 : 이승주 br 영상편집 : 안윤선 br 그래픽 : 오재열 br br br br br br br YTN 조용성 (choys@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8

Uploaded: 2023-09-15

Duration: 02:1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