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이 이끈 '깜짝' 고용 증가세...숙제 남겨 / YTN

여성이 이끈 '깜짝' 고용 증가세...숙제 남겨 / YTN

올해 고용 상황이 지난해 말 예상했던 것과 달리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br br 특히 여성 취업 증가세가 가파릅니다. br br 여성 경제활동 증가는 긍정적이지만 우리 사회에 큰 숙제도 남기고 있습니다. br br 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요즘은 농촌에서도 여성 창업자들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 br br 아이들 때문에 직장을 포기한 양서진 씨는 농촌에서 창업으로 돌파구를 찾았습니다. br br 친환경 농법으로 수세미와 차, 비누를 만들고, 틈틈히 어린 자녀들을 돌보고 있습니다. br br [양서진 농업 창업 팜투에코 대표 : 직장 생활을 하는 것보다는 시간에 제약이 없기 때문에 시간을 좀 더 자유롭게 쓸 수 있거든요. 아이들이 학교생활을 하면서 저를 필요로 할 때….] br br 지난해 말 연구기관들은 고금리와 대외 불확실성에 올해 상반기 취업자 수 증가 규모가 10만 명 안팎에 그칠 것으로 봤습니다. br br 하지만 상반기 신규 취업자 수는 30~40만 명에 이르렀고 최근에도 20만 명대를 보이는 등 예상을 웃도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br br 무엇보다 여성의 경제 활동이 늘어난 이유가 큰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지난 8월 기준 여성 고용률은 1년 전보다 1.1포인트 상승한 54.7, 같은 기간 남성은 71.9로 0.3포인트 하락했습니다. br br 20대 이상을 보면, 남성 고용률이 40대와 60대에서 하락한 반면, 여성은 모든 연령대에서 상승했습니다. br br 여성 고용 상승은 긍정적 현상이지만 저출산 현상과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습니다. br br 출산과 육아로 경력이 단절되곤 하는 30대 여성 고용률이 68로 3.1포인트 급등했기 때문입니다. br br [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 부연구위원 :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상승과 출산율이 함께 상승하면서 나타나면은 굉장히 긍정적인 현상이라고 볼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출산을 포기를 포기하는 여성들이 늘어나도 (여성 경력 단절을 의미하는) M자 커브는 완화가 될 수 있는 거거든요.] br br 그런 만큼 여성의 고용 시장 유입이 저출산 현상 가속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책적 뒷받침이 더욱 중요한 시기라는 지적입니다. br br YTN 이승은입니다. br br 촬영기자 : 고민철 br 그래픽 : 지경윤 br br br br br YTN 이승은 (selee@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0

Uploaded: 2023-09-16

Duration: 02:1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