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길 먼 육아휴직…'소득 보전·주변 시선' 문제

갈 길 먼 육아휴직…'소득 보전·주변 시선' 문제

갈 길 먼 육아휴직…'소득 보전·주변 시선' 문제br br [앵커]br br 합계출산율이 지난 2분기 0.7명을 기록하며 또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습니다.br br 뭔가 대책이 필요한데, 육아휴직을 안착시키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습니다.br br 하지만 소득도 크게 줄고 주변 시선도 아직 문제입니다.br br 최덕재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기존 소득 대비 육아휴직급여로 받는 금액의 비율인 소득대체율은 44.6 입니다.br br 육아휴직은 최대 1년까지 받을 수 있으니, 그 기간 동안 말 그대로 수입이 '반토막' 나는 겁니다.br br 금액도 부족합니다.br br 최대 150만원으로, 한 식구 생활비로는 넉넉치 않습니다.br br OECD 38개 회원국 중 27개국이 우리나라의 육아휴직과 비슷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한국의 소득 대체율은 이 중 17번째입니다.br br 스웨덴은 자녀를 낳으면 원래 급여의 85 수준을 받으면서 16개월의 육아휴직이 가능합니다.br br 이에 정부는 육아휴직급여 액수를 높이는 방안을 검토중입니다.br br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관계자는 "급여를 높이는 방향성을 갖되, 우선 최저임금 정도는 되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습니다.br br 육아휴직 대상을 넓히는 방안도 고심하고 있습니다.br br 육아휴직 제도는 실업급여에 사용되는 고용보험기금이 주 재원이어서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특수고용노동자는 대상이 아닙니다.br br 육아휴직을 쓰는 아버지들을 바라보는 시선도 개선될 필요가 있습니다.br br 육아휴직을 쓰는 데 가장 큰 문제로 '사내 문화'가 꼽혔다는 조사도 있는데, 아버지의 90 이상이 육아휴직을 쓰는 노르웨이에서는 49주의 육아휴직 중 19주는 오직 아버지에게만 주어집니다.br br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육아휴직의 안착을 위해 재원 마련과 사회적 인식 개선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해보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 (DJY@yna.co.kr)br br #합계출산율 #0.


User: 연합뉴스TV

Views: 1

Uploaded: 2023-09-24

Duration: 01:5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