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차선 건널목이 두려운 노인들..."걸음도 느린데" / YTN

8차선 건널목이 두려운 노인들..."걸음도 느린데" / YTN

대로변 건널목을 건널 때의 보행 신호등 시간, 좀 짧다고 느끼신 분들 적지 않으실 텐데요. br br 보행 신호등 시간은 성인의 평균 걸음걸이를 기준으로 계산되는데요. br br 걸음이 느린 노인들은, 이 시간이 빠듯하게 느껴져 부담이 크다고 합니다. br br 강민경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br br [기자] br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앞. br br 어르신 한 명이 아직 길을 다 못 건넌 사이, 초록 불이 빨간 불로 바뀝니다. br br 8차선 대로를 가로지르는 이 건널목의 보행 신호는 40초 남짓, 걸음이 느린 노인에게는 짧다 못해 두렵기까지 합니다. br br [A 씨 탑골공원 방문 노인 : 젊은 사람하고 조금 다르니까. 중간에 가다가 끊기면 젊은 사람은 뛰는데 노인들은 못 뛰니까. 젊은 사람에게도 마냥 여유롭지만은 않습니다.] br br 이런 8차선 도로는 아무런 짐이 없는 건장한 성인 여성이 길을 건널 때도 시간이 다소 촉박한 게 현실입니다. br br 제가 한 번 직접 건너보겠습니다. br br 평소보다 약간 느린 걸음걸이로 이 도로를 건넜는데 남은 시간은 불과 5초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br br 건널목 보행 신호 시간은 기본적으로 진입 시간 7초에, 1m에 1초씩 더하는 방식으로 정해집니다. br br 한국 노인의 평균 보행 속도가 초당 1m인 만큼, 일반적으론 큰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br br 그러나 평균 속도가 30가량 느린 지팡이나 휠체어 이용자의 안전까지 보장하기엔 넉넉하지 않습니다. br br [B 씨 서울 종로구 방문 노인 : 급하니까 서두른다고. 서두르다 보면 넘어질 수도 있고.] br br 실제로 사고로 이어지는 일도 잦습니다. br br 지난 5년간 노인 보행자 사고 4건 중 1건은 건널목에서 일어났습니다. br br 갓길 사고의 네 배, 건널목이 아닌 곳의 무단 횡단 사고의 두 배 가까이 많습니다. br br [C 씨 탑골공원 방문 노인 : 노인들 자체는 (보행 시간을) 늘리는 게 좋지. 느린 게 좋지, 노인들은. 나는 일하다가 다리를, 넘어져서 다쳤어요.] br br 내년이면 65살 이상 인구가 천만 명을 넘어서는 대한민국. br br 전문가들은 노인 친화적인 방향으로 교통 체계를 개편하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br br [정재훈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신호가 바뀌더라도 교통약자의 경우에는 차들이 안전을 고려해서 출발하지 않도록 하는 보행자 친화적인 그런 어떤 도로교통법 개정이 필요하지 않을까….] br br 우선 어르신이 많이 몰리는 공간을 중심으로 노인 보호구역, ... (중략)br br YTN 강민경 (kmk0210@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77

Uploaded: 2023-10-08

Duration: 02:4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