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밖의 일등과 꼴등...서구 경제 역전 이유는? / YTN

뜻밖의 일등과 꼴등...서구 경제 역전 이유는? / YTN

최근 각국 경제성장률을 보면 한때 '유럽의 빈국'으로 불리던 아일랜드의 비약적 성장이 눈에 띕니다. br br 반면 '대영제국'으로 군림하며 아일랜드를 수탈했던 영국은 코로나19 여파에서조차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는데요. br br 두 나라의 뒤바뀐 경제성적표가 우리 경제에 말해주는 건 뭘까요? br br 나연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는 어디일까. br br 각 나라 물가수준을 반영한 국내총생산(GDP-PPP)을 인구수로 나누어 봤더니, 1인당 GDP 14만 5천 달러의 아일랜드가 스위스, 노르웨이, 미국 등을 제치고 1위였습니다. br br 우리나라는 5만 6천 달러로 30위, 근소한 차이로 영국을 한 칸 앞섰습니다. br br 19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농업 위주의 가난한 나라였던 아일랜드는 2010년 IMF 구제금융에 기대면서 적극적인 외자 유치 정책에 나섭니다. br br 법인세를 12.5, 유럽연합 평균 21.3보다 크게 낮추고 영어권 국가라는 이점을 내세워 애플,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 등 글로벌 IT 기업과 인재들을 유인합니다. br br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등 주요 제약기업들 역시 들어오면서 코로나19 팬데믹 특수까지 누렸습니다. br br 반면 8백 년 동안 아일랜드를 지배했던 영국은 아직도 팬데믹에서 벗어나지 못한 거의 유일한 OECD 국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br br 브렉시트 이후 무역시장이 좁아진 데다 이민 장벽을 강화하면서 노동력이 부족해졌습니다. br br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자릿수를 넘어서며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인플레이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br br [제러미 헌트 영국 재무장관(지난 6월) : 가정을 돕고 주택담보대출을 가진 이들과 기업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하려면 영국 경제의 인플레이션을 마지막 한 방울까지 짜내야 합니다.] br br [성태윤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 영국의 경우에는 기존 산업에 대한 보호와 비교적 자유로운 경제활동에 대한 부분이 충분히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브렉시트를 통해서 유럽경제 권역에서 분리되어 있는 상황이고요.] br br 물론 아일랜드 경제성장률 수치에는 외국 기업들이 되가져갈 상당 몫이 가려져 있습니다. br br 그런 만큼 숫자 자체보다는 아일랜드가 외국자본을 끌어들인 동시에 유럽 어느 나라보다 폭넓게 이민자와 난민을 수용했다는 사실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br br 두 나라의 달라진 성적표는 혁신과 포용... (중략)br br YTN 나연수 (ysna@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443

Uploaded: 2023-10-08

Duration: 02:4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