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답이 안 보인다...한국 경제 짓누르는 현상 / YTN

[자막뉴스] 답이 안 보인다...한국 경제 짓누르는 현상 / YTN

1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로 인한 충격은 긴 추석 연휴 끝에 열린 우리 주식 시장을 크게 출렁이게 했습니다. br br 안전 자산 선호가 더 강해지면서 시장에 쏟아진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 물량으로 코스피는 2,400선까지 내려앉았습니다. br br 덩달아 원 달러 환율도 1,360원을 훌쩍 넘기며 치솟기 시작했습니다. br br 상대적으로 위험 자산으로 분류되는 원화 값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겁니다. br br [이정환 한양대 경제금융학과 교수(YTN 굿모닝 와이티엔) : (한미) 기준금리 격차가 해소되거나 미국의 피버팅(기존 통화 정책의 전환)에 대한 적극적 의지, 결국 금리 인하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가 반영되지 않으면 한동안은 고환율 기조가 유지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br br 여기에 주요 산유국들의 감산이 초래한 고유가는 우리 물가 상승을 부추겼습니다. br br 주춤했던 물가 상승률은 5달 만에 최대 폭으로 뛰며 두 달 연속 3대를 기록했습니다. br br [이현숙 서울 공덕동 : 저희 같은 사람들은요, 물가 10원만 올라도 포기해요. 포기할 수밖에 없죠. 만 원 가지고 여기 와봐요, 뭐 사요? 못 사요.] br br 고물가, 고환율, 고유가, 이른바 3고 악재 속에서도 우리 경제 뇌관으로 꼽히는 가계 부채는 멈출 줄 모르고 고공행진 했습니다. br br 정부와 금융당국은 이렇다 할 대응을 못 하고 있습니다. br br 금리를 낮추자니 역대 최대로 벌어진 한미 기준 금리 차가 부담이고, 반대로 금리를 올리기엔 가계 빚 부담과 경기 침체가 걱정입니다. br br 그렇다고 역대급 세수 결손 탓에 재정 확대 정책을 펼치기도 여의치 않습니다. br br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실장 : 거시 정책에서는 손발이 다 묶여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수출이라든지 이런 부분보다도 우리가 할 수 있는 부분, 국내 소비 여력 특히 세금을 좀 감면한다든가….] br br 이 때문에 정부와 금융당국 모두 '면밀히 들여다보겠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반복하고 있습니다. br br 그나마 우리 경제를 떠받드는 내수마저 침체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라도 보다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br br YTN 엄윤주입니다. br br 영상편집 | 김희정 br 그래픽 | 김진호 br 자막뉴스 | 박해진 br br br 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

Uploaded: 2023-10-09

Duration: 02:2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