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식품·외식물가 모두 상승세...체감 물가 수준은? / YTN

가공식품·외식물가 모두 상승세...체감 물가 수준은? / YTN

지난 9월 물가 상승률이 3대 후반을 기록하면서 지난 4월 이후 최대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br br 농·축·수산물뿐 아니라 가공식품과 외식물가 등도 오름세입니다. br br 최기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br br [기자] br 대형마트에서 판매 중인 고추장입니다. br br 9월 기준 고추장은 전달보다 27.3 가격이 올랐습니다. br br 설탕은 16.9, 아이스크림은 14 비싸졌습니다. br br 정부가 물가 상승률을 측정하는 가공식품 73개 세부 품목 가운데 물가 상승률이 10가 넘는 품목은 22개에 달합니다. br br 외식 물가도 상승세입니다. br br 피자는 12.3, 오리고기와 구내식당 식사비도 7 정도 가격이 더 비싸졌습니다 br br 소비자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 올랐는데 지난 4월 3.7를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입니다. br br 쌀이나 배추처럼 구매 횟수가 많은 생필품 150여 개 품목으로 구성돼 체감 물가로도 불리는 생활 물가 지수 역시 4.4 상승했습니다. br br 오비맥주는 주요 맥주 제품 출고가를 6.9 인상하기로 했고, 매일유업은 생크림 제품 출고가를 많게는 9까지 올립니다. br br [정병숙 서울 녹번동 : (가격이) 비싸도 식구가 적으니까 사는 거고,(사람이) 많은 식구는 너무 부담스러울 거 같아요. (소비 방식을) 못 바꿨어요. 바꿀 수가 없잖아요. 먹고사는 거는…. 노인들은 있는 것은 한정이고, 씀씀이는 더 세지고 진짜 힘들죠.] br br 이 같은 물가 상승이 장기적으로 소비 심리 위축으로 이어질 거란 전망입니다. br br [한다혜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 소비자는 최근에 이런 가격 변동을 보다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겠죠. 지갑이 굳게 닫히는 모습을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월급이 그대로라면 물가가 오르기 때문에 실질적인 소득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br br 여기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분쟁 등 최근 국제 정세도 국내 물가와 관련해 큰 변수입니다. br br 내수 활성화 촉진으로 자영업자 부담을 덜어주면서 소비자 부담을 함께 낮춰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br br YTN 최기성입니다. br br br br 촬영기자 : 윤원식 br br 그래픽 : 우희석 br br br br br br YTN 최기성 (choiks7@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51

Uploaded: 2023-10-12

Duration: 02:2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