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 1년, 쏟아지는 대책…'사후 약방문' 반복 안돼

참사 1년, 쏟아지는 대책…'사후 약방문' 반복 안돼

참사 1년, 쏟아지는 대책…'사후 약방문' 반복 안돼br br [앵커]br br 이태원 참사 발생 1년, 정부와 지자체 등 관계기관들은 연이어 대책을 내놨습니다.br br 인파가 몰리며 생길 수 있는 사고에 대비해 사전 점검과 현장 대응 모두 강화한다는 내용이 핵심입니다.br br '사후 약방문식' 대책이 되지 않도록 꾸준한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br br 이화영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이태원 참사가 벌어진 뒤 정부는 국가 안전시스템 개편에 착수했습니다.br br 지난 1월 종합대책에 이어 인파사고 재발 방지 대책을 포함한 세부 과제를 확정했습니다.br br "방향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새로운 위험에 상시적으로 대비하고 현장에서 작동하는 국가 재난 관리체계를 확립하는 것입니다."br br 2027년까지 구축하겠다고 발표한 과제는 총 97건.br br 현재 21건이 완료돼 이행률은 20를 막 넘었습니다.br br 특정 장소에서 1시간에 신고가 3건을 넘으면 반복 신고로 자동감지하는 시스템이 대표적입니다.br br 기지국 접속정보 등을 이용해 관계기관에 위험을 알리는 현장인파관리시스템은 시범운영에 들어간 상태로 12월 15일까지 가동 성과를 살펴본 뒤 연내 정식 도입될 예정입니다.br br 서울시와 경기도 등 17개 시·도도 첨단 IT기술을 접목한 인파관리 시스템 도입에 속속 나서고 있습니다.br br '안전불감증'이 낳은 대형 재난, 그리고 이어지는 대책들.br br '세월호 참사' 이후 구축한 재난안전통신망이 이태원 참사는 물론 오송 지하차도 참사 때 제 기능을 못한 것과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br br 전문가들은 시스템과 매뉴얼 부실도 문제지만 현장 인력과 지휘 체계가 제대로 작동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br br "현장에서 위험 상황을 완화한다거나 또 위험을 관리할 수 있게끔 현장 조치가 될 수 있는 인력이라든지 현장에서 운영할 수 있는 체계라든지 이런 부분들을 적극적으로 좀 더 보강할 필요는 있는데…"br br 참사 1년, 줄줄이 나온 대책들 모두 목표는 같습니다.br br 더는 참사 반복되지 않는 겁니다.br br 앞으로 국민 안전이 제대로 지켜질지 두고 봐야 할 문제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이화영입니다. (hwa@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1

Uploaded: 2023-10-26

Duration: 02:1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