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베이어벨트 사라진 자동차 공장...전기차 시대 표준 될까 / YTN

컨베이어벨트 사라진 자동차 공장...전기차 시대 표준 될까 / YTN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이 컨베이어 벨트가 없는 첨단 자동차 공장을 구축하는 데 뛰어들고 있습니다. br br 기존 대량생산 방식이 아닌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즉각 반영해 생산하기 위해선데, 미래 전기차 공장의 표준이 될지 주목됩니다. br br 황보혜경 기자가 싱가포르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br br [기자] br 몸에 로봇을 착용한 작업자가 셀 안에서 자동차 바퀴 부품을 조립합니다. br br 네 다리로 움직여 '로봇 개'로 불리는 '스폿' 로봇이 작업에 이상이 없는지 점검합니다. br br 싱가포르 도심에 문을 연 현대차그룹의 자동차 복합 공간 'HMGICS'에서 전기차를 생산하는 모습입니다. br br 이곳은 보시는 것처럼 컨베이어 벨트가 없습니다. br br 대신 로봇과 인공지능 기술이 결합된 셀 안에서 차량을 생산하며 저마다 다른 고객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br br 연간 전기차 3만 대 생산 역량을 갖췄는데, 국내 공장 생산량의 10 정도입니다. br br 한 가지 차종을 대량생산했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차종을 소량 생산하며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섭니다. br br [정홍범 HMGICS 법인장 : 다양한 차를 시장의 수요에 맞춰서 어떻게 공급하느냐부터 시작해서 앞으로는 모든 자동차가 커스터마이징(맞춤제작)이 많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전기차 전환 시대에 발맞춰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은 스마트 공장을 구축하는데 뛰어들고 있습니다. br br 메르세데스-벤츠는 지난 2020년 9월, 독일에 컨베이어 벨트를 최소한으로 한 첨단 공장 문을 열었습니다. br br 독일 남부에 있는 아우디의 스마트 공장에도 자동차 공장의 상징인 컨베이어벨트가 없습니다. br br 전기차 부품 수가 내연기관 차보다 적은 데다, 각종 부품들을 하나로 묶은 부품 모듈화로 생산 효율을 높였기 때문입니다. br br [홍성태 울산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 전기차는 부품 수가 적기 때문에 모듈 조립방식으로 공정을 단순화한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 로봇과 인공지능 등 기술 발달로 소비자의 요구에 맞춘 다양한 옵션을 구현하는 셀 방식 제조가 가능해졌습니다.] br br 현대차는 싱가포르에서 구축한 제조 플랫폼을 미국과 한국 울산 공장 등에 단계적으로 도입할 계획인데, 시험대에 오른 미니 스마트 공장이 다가오는 전기차 시대의 표준이 될지 주목됩니다. br br YTN 황보혜경입니다. br br br 촬영기자 : 이영재 br br 영상편집 : 박재현 br br 화... (중략)br br YTN 황보혜경 (bohk1013@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5

Uploaded: 2023-11-21

Duration: 02:2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