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북 정찰위성 러 지원"…9·19 효력정지 여야 공방

국정원 "북 정찰위성 러 지원"…9·19 효력정지 여야 공방

국정원 "북 정찰위성 러 지원"…9·19 효력정지 여야 공방br [뉴스리뷰]br br [앵커]br br 북한은 두 번째 실패 후 3개월도 되지 않아 정찰위성 발사에 성공했습니다.br br 그런 만큼 러시아의 기술 지원이 있었을 거란 관측이 나오기도 했는데요.br br 국정원이 러시아가 북한에 기술 자문을 해준 정황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br br 최지원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성공 뒤에는 러시아의 지원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br br 국회 정보위 간사인 유상범 국민의힘 의원과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비공개회의에서 국가정보원이 이같이 보고했다고 밝혔습니다.br br "북한이 설계도 및 1, 2차 발사체와 관련된 데이터를 러시아에 제공하고 러시아가 그 분석 결과를 제공한 정황이 확인되어서…."br br 지난 1차 발사 때 로켓에 탑재된 위성의 성능은 잔해 분석 결과 군사적 가치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지만, 이번에 발사된 정찰위성의 성능은 "구체적으로 확인해야 한다"고 했습니다.br br "구체적 사진을 확인해야 정찰위성인지 아니면 정찰위성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인지 알 수 있다라는 답변이 있었고요."br br 예고기간보다 하루 앞서 발사한 이유에 대해서는 최적의 기상조건에 맞추기 위해서라고 분석했습니다.br br 국방위원회에서는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가 9·19 군사합의 일부 효력정지의 근거가 될 수 있는지를 두고 공방이 오갔습니다.br br 여당은 파기를 먼저 선언한 건 북한이라고 했고, 야당은 정찰위성이 합의 효력정지의 근거가 될 수 없다고 맞받았습니다.br br "북한이 깬 겁니다. (우리는) 대응을 한 건데, 이거 북한이 분명히 깬 거 아닙니까?"br br "9·19 군사합의, 이걸 효력정지시키는 거 하고는 별개의 문제 아니냐, 이 얘기를 지적하고 있는 거예요."br br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효력정지 조치에 대해 "이익이 1조원이면 손실은 1원"이라고 말했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최지원입니다.br br 최지원 기자 (jiwoner@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3-11-23

Duration: 02:0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