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기자]우리 눈으로 북한 핵 감시…킬체인의 눈

[아는기자]우리 눈으로 북한 핵 감시…킬체인의 눈

ppbr br [앵커]br아는기자 아자 시작합니다. br br국방부 출입하는 외교안보국제부 김민곤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br brQ1. 김 기자, 우선 오늘 발사한 위성으로 촬영하면, 어느 정도로 잘 보이는 겁니까? brbr우리 군이 오늘 발사한 정찰 위성의 해상도는 30cm급입니다. br br가로 30, 세로 30cm의 물체가 점 하나로 보인다는 뜻인데요.br br어느 수준인지 사진으로 확인해보겠습니다. br br8년 전에 촬영된 55cm급 해상도의 아리랑 위성 사진입니다. br br서울 잠실 롯데월드 글자가 선명하게 보입니다.br br오늘 발사한 위성은 이보다 3~4배 더 정확합니다. br br30cm 같은 급 위성에서 촬영한 미국 국회의사당 모습입니다. br br차량의 색깔이나 종류부터 건물의 창문 위치까지 구체적으로 볼 수 있죠.brbr뉴욕에 있는 UN 본부도 보면, 옥상에 눈이 녹아있는 흔적 하나까지도 관찰할 수 있습니다.br brQ2. 이 정도의 해상도로 어떻게 촬영을 하는 겁니까? brbr우리 정찰위성은 지구를 남북 방향으로 오갑니다. br br400에서 600KM 고도에서 낮에는 북쪽으로 올라가면서 촬영하고, 햇빛이 없는 밤에는 적외선 장비를 이용해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하루에 두 번씩 촬영합니다. brbrQ3. 지난달에는 북한도 정찰위성을 발사했잖아요. 위성의 핵심은 해상도인데 북한보다 훨씬 나은 수준인 거죠? brbr사실 비교가 불가능한 수준입니다. br br위성의 수준은 무게와 비례하는데요, brbr북한이 지난달에 발사한 만리경 1호는 300kg급으로 추정됩니다. br br우리 위성 무게인 800kg의 절반도 되지 않는 거죠. br br그래서 해상도 역시 3m급으로 우리 위성의 100분의 1 수준입니다. br br이게 어느 정도 차이인지 역시 사진으로 보겠습니다.br br스페인의 석유 터미널 모습입니다. br br왼쪽이 북한과 같은 3m, 오른쪽은 30cm 해상도입니다. br br왼쪽과 달리 오른쪽은 유류 탱크 하나하나뿐 아니라 회사 이름까지도 알 수 있습니다.br br다른 사진들을 보더라도 3m와 30cm, 얻을 수 있는 정보 자체가 다릅니다.br br같은 곳을 찍더라도, 남북이 얻는 정보의 질이 확연히 다를 수밖에 없단 겁니다.brbrQ4. 북한도 러시아에서 기술을 확보하면서 위성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죠, 그야말로 남북한 위성 경쟁에 더 불이 붙겠군요, br br북한은 지난달 위성 발사 직후 빠른 기간 안에 추가 발사를 공언해 왔죠.br br우리 정보당국도 북한이 올해 추가 발사가 힘들지만 내년에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br br미 우주군이 최근 북한 위성을 무력화하겠다는 뜻을 내비치자 북한은 오늘 "주권 국가의 영역을 침범하면 미국 위성들을 제거할 수도 있다"며 발끈하기도 했습니다.br brQ5. 우리 독자 위성으로 북 도발 징후를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게 된 거죠? brbr네, '킬 체인' 역량이 강화됐다, 이렇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br br'킬 체인'은 북한의 핵, 미사일 사용 징후가 명백한 경우에 우리 군이 핵심 장비와 목표물을 선제적으로, 30분 안에 타격하는 체계를 의미합니다.br  br이를 위해서는 결국, 북한 도발 징후를 포착할 '정확한 눈'이 중요한데, 정찰 위성이 그 역할을 하는 겁니다. br br우리 군은 내후년까지 위성 4개를 더 발사할 계획인데요, br br오늘 발사한 위성이 쉽게 말해 카메라를 이용하는 만큼 날씨가 좋지 않으면 촬영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br br레이더 장비를 이용한 위성을 추가해서 날씨에 관계 없도록 하겠다는 겁니다.brbr위성 다섯 기가 모두 갖춰지면 북한의 같은 지점을 2시간 단위로 감시할 수 있다는 게 우리 군의 설명입니다. br br네, 지금까지 김민곤 기자였습니다. brbrbr br br 김민곤 기자 imgone@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15

Uploaded: 2023-12-02

Duration: 03:3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