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경제] K-반도체 '내년엔'·자동차 '내년에도' 질주한다 / YTN

[굿모닝경제] K-반도체 '내년엔'·자동차 '내년에도' 질주한다 / YTN

■ 진행 : 임성호 앵커, 김정진 앵커 br ■ 출연 :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br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굿모닝 와이티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br br 경제 소식을 빠르고 친절하게 전달해 드립니다. br br br 오늘 굿모닝경제는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과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br br br 실장님, 오늘은 국내 주력산업에 대한 이야기 먼저 해 보겠습니다. 반도체인데, 지난달 정보통신기술 수출액이 17개월 만에 반등을 했는데 거기에 반도체 영향이 컸다고요? br br [주원] br 정보통신기술을 수출한 건 아니고 정보통신기술 제품이죠. 그러니까 반도체, 디스플레이 그다음에 휴대폰, 컴퓨터 이런 걸 합해서 정보통신 수출이라고 일컫는데 전체 우리 정보통신수출액이 11월달에 180억 달러 좀 못 미치는 수준. 그중의 절반 이상이 사실 반도체입니다. 반도체가 한 96억 달러 정도 되거든요. 그러니까 나머지 보면 디스플레이가 20억, 그다음에 우리 스마트폰, 휴대폰이 15억 이런 식이기 때문에 반도체가 절대적이었는데 반도체 쪽이 많이 늘었습니다. 한 10 넘게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하면서 11월 전체 정보통신수출 제품의 수출액을 크게 늘리는 데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br br br 실장님, 지금까지 반도체 부진이 길어지고 있었잖아요. 확실한 반등의 조짐으로 이해를 해도 될까요? br br [주원] br 일단 가격이 올라서 수출이 많이 늘었던 영향인 것 같거든요. 그러니까 가격이 3분기, 특히 10월, 11월 3분기에도 올랐고 3분기 바닥을 찍고 10월과 11월 조금 올랐는데 가격이 올라간 건 우리 주력 반도체 생산기업들이 생산을 좀 줄이고 감산을 했죠. 그리고 재고 조정을 했고 그러다 보니까 시장에서 공급이 좀 주는 모양새니까 가격이 올라가는 건 맞아요. 그래서 반도체 수출이 반등을 했는데. 이게 본격적으로 반등을 우리가 얘기하려면 그 영향이 실제 시장의 수요가 늘어나는 효과로 이어져야 되거든요. 그런데 이 부분은 아직은 좀 전문가들마다 의견이 다릅니다. 그러니까 지금은 반도체 수출이나 가격 올라가는 게 시장이 회복되는 거냐, 그런데 저는 그거보다는 실제 시장의 수요는 세계 경제가 성장률이 높아지고 본격적인 회복 국면으로 들어가야 반도체 수요도 늘어나기 때문에 아...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59

Uploaded: 2023-12-14

Duration: 13:2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