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 인터뷰] 고령층은 가벼운 운동?…강도 높이면 치매 위험도 '뚝'

[출근길 인터뷰] 고령층은 가벼운 운동?…강도 높이면 치매 위험도 '뚝'

[출근길 인터뷰] 고령층은 가벼운 운동?…강도 높이면 치매 위험도 '뚝'br br [앵커]br br '운동을 하면 치매가 예방된다'는 얘기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br br 과연 운동이 주는 치매 예방효과는 어느 정도나 될까요?br br 관련 연구를 해온 전문가를 만나 이야기 들어보겠습니다.br br 뉴스캐스터 연결합니다.br br 박서휘 캐스터.br br [캐스터]br br 월요일 출근길 인터뷰에서는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송선홍 박사를 만나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br br [송홍선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박사]br br 안녕하십니까?br br [캐스터]br br 운동과 치매 예방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연구를 해오셨는데 실제로 운동을 하게 된다면 치매가 예방되는 건가요?br br [송홍선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박사]br br 여기서 이번에 한 5개월 동안 주 3회 한 시간씩 이렇게 운동을 실사했습니다. 대상자들은 평균 한 75세 분들인데요. 운동을 하게 되면 치매를 예방하는 위험요소 그런 체력이 굉장히 향상이 되고 또 우울증이라든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드티솔도 이제 개선이 되고요.br br 또 전두엽에 뇌 기억력을 권장하는 그런 뇌 혈류가 한 10에서 20 정도 개선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 5개월 정도 실시했는데 한 5년 정도는 그런 효과가 지속되지 않을까 이렇게 내다보고 있습니다.br br [캐스터]br br 그런데 어르신들은 자칫 너무 심하게 운동을 할 경우 몸에 무리가 갈 수도 있잖아요. 그래서 그 강도를 어느 정도로 맞추면 좋을까요.br br [송홍선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박사]br br 세계보건기구 WHO에서 신체 활동의 강도 기준을 우리가 움직이면 땀이 날 정도 아니면 좀 힘들다 하는 정도 이상의 중고강도 이상을 150분에서 300분, 주당 300분까지 이렇게 권장을 하고 있습니다.br br 그래서 이게 중고강도라 그러면 굉장히 강한 거 아닌가라고 우려하시는데 사실 이거는 상대적으로 체력이 약하신 분은 조금만 움직여도 중고강도가 되기 때문에 염려를 놓으셔도 될 것 같고요.br br 그런 운동을 주당 150분에서 300분 정도 실시하면 될 것 같습니다.br br [캐스터]br br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운동이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건가요?br br [송홍선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박사]br br 일단은 뇌 전체적인 기능을 향상시키는데요.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인지 예비력을 굉장히 강화시키고 뇌 손상이라든가 뇌 염증이라든가 이런 걸 개선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운동은 특히 여러 가지 스트레스라든가 우울증을 개선하는 그런 활동도 해주고 또 여러 가지를 같이 참여하면 이렇게 사회 활동도 좋아지기 때문에 그런 좋은 기능들이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br br [캐스터]br br 운동도 굉장히 다양하잖아요. 어떤 운동이 가장 좋을까요.br br [송홍선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박사]br br 일단은 치매 연구에서는 유산소 운동이 가장 효과가 있다고 그렇게 보고 돼 있고 요즘은 여러 가지 체력들이 복합적으로 하는 게 더 좋다고 할 수 있겠는데 가장 가깝게 할 수 있는 게 사실 걷기잖아요.br br 그런데 걷기를 하게 되면 근력 같은 거는 향상이 잘 안 되기 때문에 좀 더 걷기 하면서도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은 빠르게 걷기 1분 또 천천히 걷기 1분 이렇게 인터벌로 또 좀 더 체력이 좋아지시면 3분을 빠르게 걷고 3분을 천천히 걷고 이렇게 인터벌로 훈련해 주시면 그런 근력 같은 것도 개선이 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br br [캐스터]br br 3분은 빠르게 걷고 또 3분은 천천히 걷고 그렇다면 또 다른 운동은 어떤게 있을까요?br br [송홍선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박사]br br 일단 그 3분 빠르게 걷고 천천히 걷는 거는 근력도 강화시킬 수 있는데 여러 가지 스쿼트라든가 등산이라든가 생활 속에서 할 수 있는 근력 운동이 굉장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고요.br br 특히 저희들이 그런 운동뿐만 아니고 유연성 이런 운동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생활 속에서는 그래서 유연성 운동은 매일 해주셔도 좋을 것 같고요. 특히 여러 가지 탁구라든가 배드민턴도 하실 수 있으면 그런 스포츠도 지속적으로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br br [캐스터]br br 마지막으로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질 수 있을까?br br [송홍선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박사]br br 일단 생활습관을 잘 개선하면 치매예방을 한 40 정도 개선할 수 있다고 할 수 있겠거든요. 거기에는 가장 중요한 게 운동이 될 수 있겠고요. 식습관 단백질을 잘 섭취하거나 그리고 우리가 또 과다 음주라든가 흡연이라든가 이런 것들은 좀 삼가주시면 40 정도는 치매를 예방할 수 있겠습니다.br br [캐스터]br br 오늘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br br [송홍선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박사]br br 감사합니다.br br [캐스터]br br 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


User: 연합뉴스TV

Views: 22

Uploaded: 2023-12-17

Duration: 04:3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