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벽두 문 연 시장...'고물가' 여파는 지속 / YTN

새해 벽두 문 연 시장...'고물가' 여파는 지속 / YTN

새해를 맞아 시장도 일찍부터 문을 열었는데요. br br 상인들은 새해 기대감과 함께 계속되는 고물가에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유서현 기자! br br [기자] br 서울 제기동에 있는 청량리 청과물 시장에 나와 있습니다. br br br 현장 상황 어떻습니까? br br [기자] br 이른 시간이지만 이곳 상인들은 하나둘씩 영업 준비를 시작했습니다. br br 아직은 좀 한산한 상황인데요. br br 상인들은 다음 달이면 설 명절도 찾아오는 만큼, 전통시장을 찾는 손님들이 늘어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br br [김인호 청량리 청과물시장 상인회장 : 우리 장사가 침체 돼서 우리 상인들 너무 힘들고 어렵습니다. 근데 또 2024년도에는 새해에는 힘을 내서 참 어려운 걸 잘 극복하고 참 다들 건강하게 사업 잘했으면 좋겠고….] br br 다만, 새해에도 높은 물가 걱정은 여전한데요. br br 이곳 과일 가게에서 파는 사과 한 상자 가격은 6~7만 원에서 10만 원으로 두 달 사이 1.5배가 넘게 뛰었습니다. br br 겨울철에 많이 찾는 귤 가격도 5kg에 지금은 2만 원이 넘는 가격에 팔리고 있습니다. br br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사과와 배 소매가격은 각각 1년 전과 비교해 34.0, 32.6 높습니다. br br 과일뿐만 아니라 채소 가격도 올랐는데요. br br 특히 지난달 29일 기준 대파 1kg 평균 소매가격은 5,235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53.8 올랐습니다. br br 농림축산식품부는 봄철 이상저온, 여름철 폭염에 더해 12월 중순에 때 이른 한파가 찾아오는 등 각종 기상 재해가 출하량에 영향을 끼쳐 가격도 올랐다고 설명했습니다. br br 이 같은 상승률은 통계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br br 지난해 농축산물 소비자물가지수의 경우, 1년 전보다 2.5, 농산물 물가지수의 경우, 6 올랐습니다. br br 농식품부는 물가 가중치가 높은 소고기와 돼지고기 공급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 차이가 난다고 덧붙였습니다. br br 정부는 물가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가격 동향을 매일 점검하고 할인 지원 확대 등 대책을 선제적으로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br br 지금까지 서울 청량리 청과물 시장에서 YTN 유서현입니다. br br br br br br br YTN 유서현 (ryush@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38

Uploaded: 2024-01-01

Duration: 02:3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