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6달 만에 2%대 상승률...다시 반등 가능성 / YTN

소비자물가 6달 만에 2%대 상승률...다시 반등 가능성 / YTN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반 년 만에 2대로 하락했습니다. br br 하지만 농산물값이 여전히 강세인 데다, 최근 국제 유가도 다시 들썩이고 있어 불안한 흐름입니다. br br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승은 기자! br br 작황 부진에 한파의 영향이 겹치면서 농산물값이 여전히 물가를 끌어올리고 있군요? br br [기자] br 소비자 물가가 6개월 만에 2대로 내려왔습니다. br br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지수가 1년 전보다 2.8 올라 6달 만에 2대로 내려왔습니다. br br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 2.4까지 둔화했다가 8월 3.4로 뛴 뒤 5달 연속 3대를 기록해왔습니다. br br 하지만 장바구니 물가 상승률은 여전합니다. br br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14.4 상승했고, 자주 장을 보는 품목으로 이뤄진 생활물가지수는 3.4 상승했습니다. br br 특히 사과가 56.8, 배 41.2, 토마토 51.9, 파가 60.8 오르는 등 농산물이 15.4 올라 두 달 연속 15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br br 먹을거리 중에서는 육류만 유일하게 1년 전 대비 물가가 하락했습니다. br br 하지만 석유류가 1년 전보다 5 하락하면서 공업제품 상승률이 1.8 그치는 등 전체 물가 하락에 기여했습니다. br br 이에 따라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해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2.6 올랐고, 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5 오르는 데 그쳤습니다. br br 하지만 물가 둔화 흐름이 안착할 수 있을지 불투명합니다. br br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중동지역 불안 등으로 최근 국제유가가 80달러대로 다시 상승하는 등 2∼3월 물가가 다시 3 내외로 상승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br br 그러면서 농축산물 할인 지원 예산 백억 원을 추가 투입하고 앞으로는 사과와 배 계약재배 물량도 늘려 수급 불안에 미리 대비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br br 지금까지 YTN 이승은입니다. br br br br br br br YTN 이승은 (selee@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1

Uploaded: 2024-02-02

Duration: 01:5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