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불을 못 켜"…스토킹 피해자 주거지원·경호 강화

"집에서 불을 못 켜"…스토킹 피해자 주거지원·경호 강화

"집에서 불을 못 켜"…스토킹 피해자 주거지원·경호 강화br br [앵커]br br 스토킹은 피해자의 일상을 망가뜨립니다.br br 가해자가 찾아올까봐 두려워 집에 불을 켜지 못하고 생활했다는 피해자도 있는데요.br br 끊이지 않는 스토킹 범죄에 서울시가 원스톱 피해자 지원센터의 기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br br 이화영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스토킹 피해자는 가해자가 언제 어디서든 찾아올 수 있다는 두려움에 일상이 무너집니다.br br "집에 있을 때 불을 못 켰어요. 꿈에서도 나오니까 잠도 제대로 못 잤고. 되게 많이 무서운 게 컸던 것 같아요."br br 연락을 차단한 피해자에게 지인 연락처를 이용해 중고거래 어플로 스토킹을 하거나,br br 금융서비스 어플로 1원씩 120차례 송금하며 '집 앞이니 나오라'며 협박한 사례까지 피해 유형은 다양합니다.br br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이 같은 피해 사례를 접수해 전담조직인 '원스톱 지원 사업단'을 통해 피해자를 지원했습니다.br br 이번달부터는 '스토킹 피해자 원스톱지원센터'로 확대해 피해자 지원과 보호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br br 피해자가 30일간 머무를 수 있는 긴급 주거 시설을 기존 2곳에서 3곳으로 늘립니다.br br 긴급 주거 지원 시설은 공개되지 않은 곳으로 경찰을 부를 수 있는 비상벨을 비롯해 CCTV 등 안심 장비가 갖춰져 있습니다.br br "(피해자들은) 개별 거주가 가능하고 그런 각종 안전시설이 갖춰져 있어 마음에 안심이 된다고 했습니다."br br 100만 원 한도 내에서 이뤄지는 이주비 지원도 50명으로 기존보다 2배 이상 늘어납니다.br br 또 피해자를 2인 1조로 하루 10시간씩 보호하는 민간경호 서비스는 지난해보다 3배 늘어난 60명까지 지원합니다.br br 시는 원스톱지원센터를 통해 피해자의 상황을 파악한 뒤 민간 경호, 이주 지원과 같이 피해자에게 필요한 맞춤형 지원을 이어나갈 방침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이화영입니다. (hwa@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3

Uploaded: 2024-02-02

Duration: 02:0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