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부당합병·회계부정' 1심 선고공판 시작

이재용 '부당합병·회계부정' 1심 선고공판 시작

이재용 '부당합병·회계부정' 1심 선고공판 시작br br [앵커]br br 경영권 승계를 위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을 부당하게 합병하는 데 관여한 혐의를 받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1심 선고 재판이 조금 전 시작했습니다.br br 선고 결과가 나오려면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인데요.br br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br br 김예림 기자.br br [기자]br br 네, 이곳 서울중앙지법에서는 오후 2시부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 대한 1심 선고 공판을 진행 중입니다.br br 지난 2020년 9월 1일 검찰 기소 이후 약 3년 5개월 만에 '부당 합병' 의혹에 대한 법원의 첫 판단이 내려지는 겁니다.br br 선고가 시작되기 20분 전쯤, 이 회장은 법원에 도착했는데요. 재판에 임하는 심정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 등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고 입장했습니다.br br 이 회장은 안정적인 경영권 승계를 위해 지난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과정에 위법하게 개입한 혐의 등을 받고 있습니다.br br 이를 위해 자신이 대주주였던 제일모직의 가치는 띄우고 지분이 없던 삼성물산의 가치는 낮췄다는 게 검찰의 시각입니다.br br 앞서 검찰은 삼성이 결과적으로 공짜 경영권 승계를 성공시켰다며 이 회장에게 징역 5년에 벌금 5억 원을 구형했는데요.br br 최후 변론에서 이 회장은 "합병 과정에서 개인 이익을 염두에 둔 적이 없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했습니다.br br 이 사건은 검찰 수사 기록만 19만쪽에 달하고, 3년이 넘는 기간 동안 재판이 106차례 진행됐는데요.br br 따라서 오늘 최종 결과가 나오기까지 적잖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br br [앵커]br br 오랜 기간 법정 다툼이 이어져 온 만큼 1심 결과에 많은 관심 쏠리는데요.br br 핵심 내용과 쟁점 한 번 더 자세히 짚어주시죠.br br [기자]br br 핵심 쟁점은 2015년에 이뤄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과정이 정상적이었는지, 혹은 불법적인 부분은 없었는지입니다.br br 검찰은 당시 양사의 합병은 이 회장의 그룹 지배력 강화와 승계를 위한 후속 작업 기반 마련을 위한 것뿐이었다고 봤습니다.br br 삼성 경영권의 핵심은 그룹 내 상장 계열사 시가총액의 3분의 2에 달하는 삼성전자에 대한 지배력 확보가 핵심이었기 때문에, 삼성전자 주식 4를 보유한 2대 주주이자, 계열사 주식을 다량 보유하고 있던 삼성물산에 대한 지배력을 확보하려 했다는 겁니다.br br 이를 위해 삼성 미래전략실에서 삼성물산과 에버랜드를 합병하는 승계 계획안 '프로젝트 G'를 마련했다는 게 검찰의 시각입니다.br br 검찰은 특히 이 회장에게 유리한 합병 조건을 만들기 위해, 시세 조종과 허위 호재 공표 등 각종 불법 행위가 있었다고 봤습니다.br br 또한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 회계 또한 이 회장이 최대 주주인 제일모직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었다고 판단했습니다.br br 이 회장의 지시나 승인이 있었는지도 핵심적인 쟁점 중 하나인데요.br br '국정농단 뇌물 사건'에 이어 이번에도 유죄가 인정된다면 삼성은 또다시 사법 리스크를 맞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br br 이 회장 측은 검찰의 주장에 대해 합병을 지시하거나 보고받은 적이 없고, 합병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두 회사에 도움이 되는 합리적 경영 행위였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습니다.br br 지금까지 서울중앙지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lim@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2

Uploaded: 2024-02-05

Duration: 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