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깃값 같은 과일값, 근본적인 대책 없을까? / YTN

고깃값 같은 과일값, 근본적인 대책 없을까? / YTN

이번 설 연휴는 어느 때보다 물가 때문에 걱정이 많은 명절인데요. br br 특히 과일 가격이 많이 오르며 정부가 협의체까지 구성했지만 단기적 효과는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br br 김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지난해 여름부터 치솟기 시작한 과일값. br br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먹는 사과는 이번 달 무려 95, 지난해보다 두 배가량 올랐습니다. br br 설 수요를 감안해도 올라도 너무 올랐다는 반응입니다. br br [이채현 서울 화곡동 : 제가 체감하기에는 고기보다 과일이랑 채소 가격이 훨씬 비싼 것 같아요.] br br 그렇다고 과일 농가가 돈을 버는 것도 아닙니다. br br [박연순 한국과수농협연합회 전무 : 과수는 연년생 작물이라 비료나 농약이나 인건비가 계속 들어갈 수밖에 없거든요. 농민들은 사과값이 올랐다고 해서 수익을 더 올리는 것은 아니에요.] br br 과일 가격이 폭등한 이유는 생산량이 대폭 줄었기 때문입니다. br br 지난해 태풍과 우박, 탄저병까지 서너 가지 재해가 겹치며 주요 과일 생산량이 급감했습니다. br br 문제는 앞으로 자연재해가 더 많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겁니다. br br 정부도 부랴부랴 협의체를 만들었지만 시설투자 등 장기적인 대책이 대부분입니다. br br [지수아 농림수산식품부 원예경영과 사무관 : 신품종을 많이 보급해서 자연재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고요. 농가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차세대 과원 투자를 확대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br br 단기적으로 내놓은 수입 과일 물량 확대는 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br br 농가는 물론 장기적으로 소비자들까지 힘들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br br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 국내산이 좋다고 생각했는데 수입산 소비해 보니까 수입산도 좋거든. 소비자들 선호도가 수입산으로 넘어가고 그러다 보면 국내생산 기반은 위축되고 국내 소비기반도 위축되고 이게 악순환을 낳게 되는 거죠.] br br 기후문제로 더욱 어려워진 물가정책, 민심 달래기에 급급하기 보다 현명한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br br YTN 김선희입니다. br br br 촬영기자 : 이승주 br br 그래픽 : 기내경 br br br br br br YTN 김선희 (sunny@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98

Uploaded: 2024-02-11

Duration: 02:0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