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영상+] 복지차관 "환자의 생명을 도구 삼지 말 것을 강력히 요청" / YTN

[현장영상+] 복지차관 "환자의 생명을 도구 삼지 말 것을 강력히 요청" / YTN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를 막기 위해 어젯밤 전공의들이 총회를 열고 집단행동의 수위와 시기 등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br br 이에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를 연 정부가 대응책을 발표할지 주목됩니다. br br 브리핑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 br br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 br 안녕하십니까? 보건복지부 제2차관 박민수입니다. br br 2월 13일 「의료 개혁과 의사 집단행동」에 대한 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어제 전공의단체의 임시총회가 진행되었습니다. 집단행동에 나서겠다는 입장 표명이 없는 점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br br 밤낮으로 환자들과 사투를 벌이는 의료진이 있기에 우리의 일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정부는 의료진의 근무여건을 개선해 지속 가능한 일터로 만들 수 있도록 의료개혁에 박차를 가하겠습니다. br br 전공의들은 환자 곁을 지켜주는 결단을 내려주시길 당부드립니다. 다음으로, 의사단체 등에서 언론을 통해 제기한 내용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br br 첫째, 의대증원 발표는 선거용이며, 선거 후 의료계와 숫자를 줄이는 타협을 할 것이라는 주장입니다. 의사 증원 정책은 오직 국민 보건을 위한 정책적 결정이었다는 점을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 보건복지부는 4월 전에 학교별 배정을 확정할 수 있도록,교육부와 협의해 관련 절차를 신속히 이행하겠습니다. br br 둘째, 정부의 필수의료 개혁은 의사를 죽이는 또는 노예화하는 정책이라는 주장에 대한 설명입니다. 정부의 필수의료 개혁은 의료인과 국민 모두를 위한 일입니다. 필수의료에 종사하는 의사들에게 합당한 보상을 하고, 사법적 부담은 덜어주어, 소신껏 진료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정책입니다. br br 또한 국민들이 제 때, 적정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책입니다. 그간 의료 현장에서는 필수의료를 살리기 위해, 의료사고에 대한 부담 완화, 공정하지 못한 보상체계 개선,장시간 노동으로 인한 번 아웃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요청했습니다. 정부의 의료 개혁은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이자, 의사와 환자를 모두 살리는 대책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합니다. br br 셋째, 집단행동에 대한 정부의 강경대응이 사태를 악화시킨다는 주장입니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은 정부의 가장 중요한 책무입니다. 집단행동에 대한 정부의 대응은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한 당연한 조치입니다. br br 법을 지키...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

Uploaded: 2024-02-13

Duration: 10:2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