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벚꽃엔딩' 어렵다...금리 인하 시기 언제쯤? / YTN

[자막뉴스] '벚꽃엔딩' 어렵다...금리 인하 시기 언제쯤? / YTN

연 3.5 기준금리는 여덟 차례 묶이며 지난해 1월부터 13개월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br br 우리나라와 미국 금리 차가 2p, 역대 최대로 벌어진 지도 일곱 달째입니다. br br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를 시사한 지난해 말 시장은 정책 완화 기대로 부풀었습니다. br br 금리 인하 시점으로 관심이 옮겨가면서 '이르면 3월'설이 파다했습니다. br br 하지만 연준은 올해 첫 회의에서 이런 기대에 찬물을 부었습니다. br br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현지 시간 지난달 31일) : 3월 금리 인하를 말하는 것 같은데 그건 가능할 것 같지 않고 우리가 생각하는 시나리오도 아닙니다.] br br 고용지표가 탄탄한 흐름을 이어가며 임금상승률에 탄력을 붙이고 있는 만큼, 인플레이션을 좀 더 경계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br br [유혜미 한양대학교 경제금융대학 교수 : 미국 경제가 좋다 보니까 금리 인하 시점이 뒤로 밀리면서 결국에는 한국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시점도 같이 뒤로 밀리게 되거든요.] br br 물가안정에 주력해야 하는 건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br br 지난달 물가상승률이 3를 밑돌며 깜짝 둔화했지만, 소비자가 체감한 장바구니 물가는 달랐습니다. br br 정부와 통화 당국도 반등 신호를 더 눈여겨보고 있습니다. br br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지난 2일) : 최근 중동지역 불안 등으로 국제유가가 80달러대로 재상승하는 등 2, 3월 물가는 다시 3 내외로 상승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br br 섣부른 금리 인하가 자칫 가계부채와 부동산 가격을 자극할 수도 있는 만큼, 물가상승률 2 안착 확신이 들 때까지 숨 고르기는 길어질 전망입니다. br br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 개인적으로는 적어도 6개월 이상은 금리를 인하하기 쉽지 않을 거다.] br br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가 들어선 고금리 터널. br br 미국조차 '벚꽃엔딩'을 기대하긴 매우 어렵고, 한국은 일러도 7월 이후에나 빠져나올 수 있을 전망입니다. br br YTN 나연수입니다. br br 영상편집|박정란 br 그래픽|홍명화 br 자막뉴스|류청희 br br #자막뉴스 br br br 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3

Uploaded: 2024-02-13

Duration: 02:1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