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발전특구 육성 본격화…지역인재 전형 주목

교육발전특구 육성 본격화…지역인재 전형 주목

교육발전특구 육성 본격화…지역인재 전형 주목br br [앵커]br br 정부가 지역 인재가 타지역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고, 지방의 경제·사회적 기반을 바로 세우기 위해 '교육발전특구' 육성을 추진 중입니다.br br 수도권에 가지 않아도 양질의 교육을 받도록 하겠다는 건데, 지역 학생들이 얼마나 더 좋은 기회를 받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br br 김종성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비수도권 지역 중 처음 부산에서 열린 지방시대 민생 토론회에서는 교육발전특구 추진 계획도 거론됐습니다.br br 수도권에 버금가는 공교육시스템을 갖추고 지역 인재 유출을 막아 지역 산업과 지방 발전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단 겁니다.br br "지역 내 공교육 경쟁력 강화로 지방에서도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여건 조성, 글로벌 인재 양성 방안, 부산형 교육발전특구 등이 집중 논의…."br br 특구로 지정되면 한 곳당 30억원~100억원가량의 특별교부금을 지원받고, 규제 특례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br br 정부는 지역인재 전형을 확대해 제도의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br br 교육부는 60 이상 지역인재전형 목표를 달성한 대학에 인센티브를 주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지방시대위는 최근 늘어난 의대 정원을 지역인재 육성에 활용할 카드로 꼽습니다.br br "유일하게 수도권과 (지방이) 경쟁할 수 있는 학과가 의학계열인데, 선순환이 되면 나머지 첨단학과들도 수도권과 경쟁할 수 있는 과가 생길 것이다."br br 한편, 지난 9일 첫 교육발전특구 희망지역 접수를 마감한 정부는 이번 달 안에 교육발전특구 심의 1차 결과를 내놓을 예정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김종성입니다. (goldbell@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0

Uploaded: 2024-02-13

Duration: 01:4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