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분기 '실질 근로·사업소득' 감소...분배는 개선 / YTN

지난해 4분기 '실질 근로·사업소득' 감소...분배는 개선 / YTN

작년 4분기 월평균 가계소득 502만 원…3.9↑ br 명목 ’근로소득·사업소득·이전소득’ 모두 늘어 br 물가상승률 제외한 실질 소득 0.5 증가br br br 지난해 4분기 실질 가계소득은 소폭 늘었지만,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br 분배지표인 소득 5분위 배율은 다소 개선됐습니다. br br 취재기자를 연결합니다. br br 오인석 기자, 자세한 내용 전해주시죠. br br [기자] br 네,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02만 4천 원으로 1년 전 같은 분기와 비교해 3.9 증가했습니다. br br 근로소득 316만 7천 원, 사업소득 103만 5천 원, 이전소득은 67만 1천 원으로 모두 늘었습니다. br br 하지만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가구당 실질소득은 0.5 증가에 그쳤습니다. br br 실질 근로소득은 1.9, 사업소득은 1.7가 각각 감소했습니다. br br 실질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동시에 줄어든 것은 2021년 1분기 이후 11분기 만에 처음입니다. br br 그나마 공적연금과 부모급여 등 실질 이전소득은 13.8 증가해 소폭의 소득 증가를 뒷받침했습니다. br br 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7만 8천 원으로 4.5, 상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천 80만 4천 원으로 3.6 증가했습니다. br br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83만 3천 원으로 5.1 늘었지만 물가 상승률이 반영된 실질 소비지출은 1.6 증가했습니다. br br 연료비와 공공요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주거·수도·광열비가 9.5, 오락·문화는 12.3 지출이 늘었습니다. br br 실질 소비지출은 6분기 연속으로 실질 소득 증가율을 앞섰습니다. br br 소득 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28만 3천 원으로 1.6 감소한 반면, 상위 20 가구의 소비지출은 491만 2천 원으로 7.9 증가했습니다. br br 고물가·고금리가 장기화하면서 서민층부터 허리띠를 졸라 맨 모습입니다. br br 소득 상위 20 가구와 하위 20 가구의 소득 격차를 보여주는 소득 5분위 배율은 5.30배로 0.23배 포인트 하락하며 소폭 개선됐습니다. br br 정부는 지난해 4분기 총소득은 취업자 수 증가와 공적연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증가했다고 평가하고 소득·분배가 지속적으로 개선되도록 성장과 사회 이동성 제고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br br 지금까지 통계청에서 전해드렸습니다. br br br br br br YTN 오인석 (insukoh@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7

Uploaded: 2024-02-29

Duration: 02:4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