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 증가폭 '3년 만에 최소'...청년고용률 감소 전환 / YTN

지난달 취업자 증가폭 '3년 만에 최소'...청년고용률 감소 전환 / YTN

"기업 경력 선호 현상에 취업 연령 점점 늦춰져" br 도소매업·건설업 부진…40대 7만9천 명 감소 br 제조업 취업자 4만9천 명 늘면서 넉 달째 증가br br br 고금리와 고물가 속 내수 경제를 지탱해온 고용 호조 현상에 둔화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br br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 폭이 17만 명대에 그쳐, 3년여 만에 가장 적은 증가 폭을 보였습니다. br br 특히 청년층 취업자가 13만 명 넘게 줄어 고용률이 감소 전환했습니다. br br 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 수는 2천839만 6천 명으로 br br 1년 전에 비해 17만3천 명 느는 데 그쳤습니다. br br 코로나19 사태 영향으로 지난 2021년 2월 47만 3천 명 줄어든 뒤 3년 1개월 만에 가장 적은 증가 폭입니다. br br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 : 작년 3월 큰 폭의 증가에 따른 기저 그리고 기후 영향에 따른 농림어업 취업자 감소 등으로 증가 폭은 전월에 비해서 축소되었고 실업자는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br br 특히 15세에서 29세 청년층 취업자가 1년 전에 비해 13만 명 넘게 감소해 모든 나이 대 가운데 가장 많이 줄었습니다. br br 청년층 취업자는 17개월 연속 줄고 있는데 이 같은 감소 폭은 8달 만에 최대입니다. br br 이에 따라 청년층 고용률은 1년 전보다 0.3p 하락한 45.9를 기록하며 6달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br br 인구 감소에다 기업들의 경력사원 선호로 취업 연령이 점점 늦춰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br br 40대도 도소매와 건설업 부진, 인구 감소 영향으로 7만 9천 명 줄었습니다. br br 하지만 수출 증가에 힘입어 제조업 취업자가 4만 9천 명 늘면서 고용률이 3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br br 정부는 가팔랐던 취업자 증가세가 다소 조정받고 있다며 내수 회복 지연과 건설수주 부진을 고용 호조세 제약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br br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 :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회복세가 확산되고 있는 만큼, 정부는 내수 취약부문에 대한 보강과 민간부문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고용 개선세 확대를 통해 우리 경제를 균형 잡힌 성장, 체감되는 성장 궤도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대응해 나가겠습니다.] br br 정부는 청년과 여성 등 고용 취약계층 지원을 포함한 사회 이동성 개선방안과 중소기업 성장 사다리 강화방안 등 일자리 대책을 잇따라 발표할 예정입니다. br br YTN 이승은입니다. br br 영상편집 주혜민 br 디자인 유영준 지경윤 br br ... (중략)br br YTN 이승은 (selee@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5

Uploaded: 2024-04-12

Duration: 02:2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