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폐현수막 처리 '골치'..."한 장당 온실가스 배출 4kg" / YTN

총선 폐현수막 처리 '골치'..."한 장당 온실가스 배출 4kg" / YTN

선거철 거리 곳곳, 선거용 정당 현수막 가득 br 제22대 총선 폐현수막 규모 200만 장 이상 예상 br "한 장 제작·폐기에 온실가스 4kg 이상 배출" br 정부, 폐현수막 재활용 유도…한계도 분명br br br 22대 총선은 끝났지만,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은 선거에 쓰인 폐현수막 처리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br br 한 장을 만들고 버릴 때마다 4kg이 넘는 온실가스가 발생하는 데다, 재활용에도 한계가 있어 아예 선거용 현수막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옵니다. br br 김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선거철이 다가오면 거리 곳곳은 후보들을 알리는 현수막으로 가득 찹니다. br br 선거 관련 정보에 접근하기 어려운 취약계층에게 직접 정보를 주는 장점이 있지만, 선거가 끝나면 쓰레기로 전락합니다. br br 그 양도 엄청납니다. br br 지난 22대 총선에서 배출된 폐현수막의 양은 아직 정확히 집계되지 않았지만, 2022년 지방선거 당시만 봐도 전국에서 모인 폐현수막은 260만 장, 1,557만 톤 규모였습니다. br br [A 지자체 관계자 : 차로 하면 (저희 지자체에서만 1톤 화물차로) 여섯 차 정도 될 것 같거든요.] br br 과도한 현수막의 처리 문제가 불거지면서 올해 초 읍면동당 정당 현수막을 2개로 제한하는 법이 시행된 점을 고려해도 이번에 200만 장 넘는 양이 배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br br 이는 곧바로 환경 오염으로 연결됩니다. br br 한 환경단체는 10㎡ 크기의 현수막 한 장을 만들고 폐기하는데 4kg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고 분석했습니다. br br 정부에선 폐현수막을 제설용 모래주머니로 만들거나 환경 정비용 마대로 사용하는 등 재활용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br br 하지만 사람의 얼굴이나 이름이 찍힌 선거용 현수막의 특징 때문에 재활용엔 한계가 있습니다. br br 실제 선거현수막 재활용 비율은 25에도 못 미치고, 많은 양이 그대로 소각되고 있습니다. br br [이윤희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연구위원 : 현수막의 소재를 재활용 가능하거나 폐기 시에 환경 영향이 덜 발생하는 소재를 개발해서 적용하는 게 시급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br br 전문가들은 근본적으로 정당현수막의 수를 더욱 제한하는 법률 개정이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br br YTN 김주영입니다. br br 영상편집 : 고창영 br 디자인 : 지경윤 br br br br br YTN 김주영 (kimjy0810@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

Uploaded: 2024-04-16

Duration: 02:0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