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최덕근 암살’ 관련 북 공작원 활동 정황

[단독]‘최덕근 암살’ 관련 북 공작원 활동 정황

ppbr br [앵커]br정부가 해외 5개국 재외공관에 테러 경보를 2단계 격상시켰습니다. brbr북한이 우리에게 보복 테러를 감행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는데요. brbr28년 전 고 최덕근 영사 암살에 가담한 걸로 추정되는 북한 공작원이 최근 해외 활동을 재개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br br캄보디아, 중국 선양이 특히 심상치가 않다네요. br br유승진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brbr[기자]br지난 1996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영사관에 파견돼 마약 밀매 실태를 추적해오던 고 최덕근 영사가 피살됐습니다. br br고인의 시신에서 북한 공작원이 주로 사용하는 독극물이 발견되면서 북한이 배후로 지목됐습니다. brbr최근 당시 살해범으로 추정되는 북한 공작원이 동남아에서 활동을 시작한 정황을 우리 정보당국이 포착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brbr이런 북한의 심상치 않은 움직임에 정부는 재외공관 5곳에 대한 테러 경보를 격상시켰습니다. brbr'관심'에서, "테러 발생 가능성이 농후"한 수준인 '경계'로 두 단계 높인 겁니다.brbr북한의 위협 때문에 재외공관을 대상으로 한 테러 경보가 한 번에 두 단계나 조정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brbr테러 경보를 격상한 재외공관은 블라디보스톡과 선양,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등 총 5곳.brbr북한과 교류가 잦은 국가들인데, 탈북 루트로 활용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brbr정부는 이 가운데 특히 선양과 캄보디아 공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brbr정보당국은 북한의 테러 가능성이 높아진 이유로 해외 북한 엘리트들의 탈북을 꼽고 있습니다. brbr이들을 관리했던 북한 기관원들이 탈북에 대한 문책을 피하기 위해 '남측의 공관원이 물밑에서 탈북을 유도했다'는 식으로 상부에 허위 보고를 하고 이에 대해 보복을 하려 한다는 겁니다. br br정보당국은 테러경보를 격상시켜야 할 공관이 늘어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brbr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 br br영상편집 : 김지향br br br 유승진 기자 promotion@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590

Uploaded: 2024-05-03

Duration: 02:1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