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두 국가 해법'은 가능할까 / YTN

팔레스타인 '두 국가 해법'은 가능할까 / YTN

가자지구 전쟁이 계속되는 가운데, 국제사회는 팔레스타인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두 국가 해법'을 최우선 과제로 꼽습니다. br br 하지만 세부적으로 조율해야 할 것들이 워낙 많아 실현 가능성은 갈수록 불투명해지고 있습니다. br br 권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두 국가 해법'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br br 1993년 체결된 오슬로 협정에서 처음 등장했습니다. br br 이스라엘이 가자와 서안지구 통제권을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넘기고 예루살렘은 공동 통제하는 방식입니다. br br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종식은 '두 국가 해법'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이스라엘은 안보 우려를 불식시켜야 하고, 팔레스타인은 완전한 독립을 쟁취해야 합니다.] br br 그러나 오슬로 협정이 체결됐던 당시와 현재 상황은 크게 달라졌습니다. br br 먼저 11만6천 명이던 서안지구 거주 이스라엘 정착민은 2021년 말 기준 46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br br 이들을 이스라엘 영토로 옮기기가 쉽지 않습니다. br br 더 큰 문제는 정치적 의지입니다. br br 이스라엘 극우 인사들을 중심으로 평화협정을 회의적으로 보고 전쟁을 지속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br br 그 중심에 네타냐후 총리가 있습니다. br br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 우리는 그들이 우리를 강력하게 공격할 수 있는 테러 국가를 세우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br br 이 해법에 대한 양 국민의 신뢰도가 크게 낮아지면서 현실성도 함께 떨어지고 있습니다. br br 이스라엘 유대인 32, 팔레스타인 주민 28만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한다는 조사결과도 있습니다. br br [존 볼튼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 그들(팔레스타인)은 75년 동안 이스라엘에 대항하는 무기로 쓰였습니다. 가자 지구를 재건하고 그 위에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생각은 현실을 무시하는 것입니다.] br br 마지막으로 누가 중재에 나설 지도 문제입니다. br br 유럽연합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경제 위기 등을 이유로 진지한 개입 의지가 없습니다. br br 미국은 11월 대선 결과에 따라 이 지역에 개입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br br 현재 이뤄지고 있는 팔레스타인 난민 지원보다 '두 국가 해법'이 더 큰 비용이 들 것이란 견해도 장애물로 남아 있습니다. br br YTN 권영희입니다. br br 영상편집:한경희 br br br br br YTN 권영희 (kwonyh@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8

Uploaded: 2024-05-25

Duration: 02:3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