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올림픽, '저탄소'도 좋지만...에어컨 없는 선수촌에 걱정 / YTN

파리 올림픽, '저탄소'도 좋지만...에어컨 없는 선수촌에 걱정 / YTN

선수촌도 많은 변화…식단 60 이상 식물성으로 br 실내 에어컨 없애고 골판지 침대 보완해 배치 br "공기 흐름 촉진·지하수 순환…6℃ 낮게 유지" br 지난해 7월 파리 43℃ 기록…올해도 폭염 가능성br br br 꼭 100년 만에 다시 파리로 돌아온 하계 올림픽의 개막이 이제 50여 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br br 파리 올림픽 조직위원회가 사상 최고 수준의 '저탄소' 올림픽을 목표로 내걸면서 선수촌에선 에어컨이 사라지게 되는데요, br br 올해도 기록적 폭염이 예고되면서 걱정하는 목소리가 만만치 않습니다. br br 유투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파리 올림픽 측이 제시한 이산화탄소 배출 목표는 158만 톤, br br 과거 런던이나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합니다. br br 이런 야심 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경기장의 신축은 최대한 줄이고, 친환경 자재나 재생에너지의 사용을 늘렸습니다. br br [조지나 그레뇽 파리 올림픽 환경 담당 : 건물을 새로 짓지 않고, 95를 기존에 있거나 임시 설치된 인프라를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br br 나중에 임대주택으로 활용될 선수촌의 풍경도 달라졌습니다. br br 식단의 60 이상은 식물성으로 채우고, 도쿄 올림픽에서 사용된 골판지 침대를 보완해 다시 선보입니다. br br 특히 실내에서 에어컨을 완전히 없애고 대신 선풍기를 배치합니다. br br 그래도 건물 간 공기 흐름을 촉진하는 설계와 건물 바닥을 흐르는 지하수의 영향으로 실내 온도를 바깥보다 6도가량 낮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겁니다. br br 하지만 각국 선수단 사이에선 우려하는 목소리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br br 유럽 전역이 기록적 폭염을 겪은 지난해, 파리의 7월 최고기온은 43도까지 올라갔고 올해는 상황이 더 심각할 수도 있습니다. br br [크레이그 헬러 스탠퍼드대 교수 : 도쿄 올림픽 때처럼 매우 덥고 견디기 힘들 수 있습니다. 이런 환경 온도의 상승은 경기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br br 이런 가운데 '올림픽 특수'를 앞두고 파리의 대중교통이나 관광명소의 이용료는 줄줄이 오르고 있습니다. br br 지하철 요금은 한시적으로 2배 정도 오르고, 루브르박물관과 에펠탑의 입장료도 각각 20와 30씩 인상됩니다. br br 이 때문에 올림픽 개최국이 막대한 적자에 허덕이는 이른바 '올림픽의 저주'를 피하기 위해 '저탄소'를 이유로 비용은 줄이고 수익만 챙기고 있다는 볼멘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br br YTN 유투권입니다. br br br 영상... (중략)br br YTN 유투권 (r2kwon@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71

Uploaded: 2024-06-04

Duration: 02:2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