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분식집은 적게 주자”…최저임금 ‘업종별 차등’ 평행선

“편의점·분식집은 적게 주자”…최저임금 ‘업종별 차등’ 평행선

ppbr br [앵커]br내년도 최저임금 협상 소식으로 이어갑니다. br br아직 액수 논의조차 시작하지 못했는데요. br  br업종별로 차등을 두는 방안을 두고 의견이 팽팽합니다. brbr경영계는 편의점과 일부 음식점 등은 임금을 덜 올리자는 반면, 노동계는 완강히 반대하고 있습니다. br br정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brbr[기자]br서울 영등포구에서 동태탕집을 운영하는 박창윤 씨. br br시간당 최저임금 9,860원이 부담스러워 직원을 1명으로 줄였습니다. br br[박창윤 음식점주] br"가족들이 좀 더 일을 많이 하고 있는 그런 상태로 지금 운영하고 있습니다" br br경영계는 이렇게 최저임금을 감당하기 어려운 5개 업종을 꼽아 최저임금을 조금 덜 올리는 '업종별 차등화'를 주장합니다. br br대표적으로 한식과 외국식, 기타 간이 음식점업으로 박 씨가 운영하는 탕이나 국밥집 중국집과 치킨집, 분식점 같은 비교적 영세한 분야들입니다.br br딱히 큰 기술이 필요 없어 부가가치가 낮은 데 비해 타 업종에 비해 더 많은 돈을 받고 있다는 설명입니다.br br편의점과 택시업계도 포함됩니다. br  br채널A가 확보한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두 업종 모두 2020년 기준 영업 이익이 적자로 현 수준의 임금을 감당하기가 어려운 걸로 나타났습니다. br br[편의점주] br"시원한 데 앉아가지고 여름에 시원하니 겨울엔 따뜻하게 앉아가지고 계산하면 되는데, (다른 업종과) 똑같은 돈 주고 한다면 불공평하죠" br br노동계는 반발합니다. br br[이지현 한국노총 대변인] br"차등 적용을 하면 저임금 업종으로 인식돼 인력난이 오히려 가중되고 그 업종에 일하는 노동자들은 미래가 없는 삶을 계속 해서 살아야 합니다." br br노사가 평행선을 달리면서 내년도 임금 인상 폭은 논의조차 시작하지 못했습니다. br br최저임금위는 다음 달 2일 차등 적용 여부를 다시 논의합니다. br br채널A 뉴스 정성원입니다. br br영상취재 : 김기열 채희재 br영상편집 : 박혜린br br br 정성원 기자 jungsw@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1

Uploaded: 2024-06-28

Duration: 02:1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