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폼이 '한류 수출' 첨병…2030년 200조원 전망

숏폼이 '한류 수출' 첨병…2030년 200조원 전망

숏폼이 '한류 수출' 첨병…2030년 200조원 전망br [뉴스리뷰]br br [앵커]br br 1분 안팎 정도의 짧은 영상, 숏폼이 어딜 가나 인기입니다.br br 한류 수출에도 첨병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br br 2030년까지 한류 시장이 200조원에 달할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br br 최덕재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미국 유명 가수가 틱톡에 업로드한 매운 볶음라면 영상.br br 전 세계에서 조회수 4,000만 회를 기록해 한국 제품을 널리 알렸습니다.br br 품귀 현상까지 빚어졌고, 제조업체 주가는 지난달에 올 초 대비 203.6 폭등하기도 했습니다.br br 이렇게 한류가 전 세계로 확산하는 데에 짧은 동영상, '숏폼'이 효자 노릇을 하고 있습니다.br br "올해 1분기에 K엔터테인먼트 콘텐츠들이 동남아에서 만들어진 뷰를 다 합치면 조회수가 1,000억뷰라고 해요. 콘텐츠를 재생산, 확대 생산, 2차 창작을 할 수 있는 플롯폼이기 때문에 한류를 확산시켜 나가는 데 있어 좀 더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br br 글로벌 대세가 된 숏폼 영상의 확산력에 힘입어, 앞으로도 한류 시장은 계속 커질 전망입니다.br br 틱톡의 백서, 블룸버그통신 보도 등에 따르면 한류 제품·서비스 시장 규모는 2030년 1,430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197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br br "전 세계적인 플랫폼의 흐름에 가장 적합한 콘텐츠 중에 하나가 바로 이른바 K콘텐츠로 플랫폼 소비자들이 채택을 하고 있다라는 거죠. 고유의 특성들이 합쳐진 거기 때문에 그거 자체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거죠."br br 다만 숏폼은 짧은 영상 특성상 자극적인 경우가 많고, 저작권 분쟁 논란도 지속돼 항상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 (DJY@yna.co.


User: 연합뉴스TV

Views: 3

Uploaded: 2024-07-15

Duration: 01:4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