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카메라]불청객 된 맹꽁이…“1마리 이주에 1000만 원”

[현장 카메라]불청객 된 맹꽁이…“1마리 이주에 1000만 원”

ppbr br [앵커]br멸종위기종인 맹꽁이의 서식지 개발을 두고 전국 곳곳에서 갈등입니다. brbr맹꽁이가 걸림돌이냐 보호해야 할 대상이냐 의견이 엇갈리는데요, br br현장 카메라, 김태우 기자입니다. brbr[기자]br매년 장마철이면 멸종위기종인 맹꽁이는 산란을 위해 모습을 드러냅니다. br br그런데 곳곳에선 맹꽁이 서식지 개발 문제를 두고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 br br무슨 일인지,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br br빗소리를 뚫고 밤낮 없이 울어대는 맹꽁이떼. brbr빗물이 고인 곳에선 이렇게 맹꽁이들이 낳은 알과 올챙이들이 발견됩니다.br br그런데 일각에선 맹꽁이 소리가 갈등의 씨앗이 되곤 합니다. br br맹꽁이가 개발을 앞둔 금싸라기 땅에 자리잡은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brbr호텔과 쇼핑몰 등 6조 원 규모의 초대형 복합단지를 추진 중인 전북도청 앞 부지도 맹꽁이 때문에 개발이 지연됐습니다.brbr공사를 시작하기 위해 지난해 맹꽁이를 찾아 인근 습지로 이주시켰는데 63마리 이주에 6억 원, 한 마리당 1천만 원 가까이 들었습니다.br br[개발 업체 관계자] br"용역비, 설치 비용, 포획해서 이주하는 비용, 모니터링하는 비용 등 전문가들을 통해서 하다 보니까 큰 비용이 들어갑니다." br br환경단체들은 이주 자체를 반대합니다. br br[문지현 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br"돌아다니면서 들어 보면 맹꽁이 소리가 아주 잘 들립니다. 서식지 보존이 가장 현명한 선택입니다." brbr경기 과천의 한 공공주택지구 개발 예정지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br br5년째 갈등을 빚던 중 결국 맹꽁이 160여 마리를 옮기고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지만, 반발은 여전합니다. br br[이경율 환경실천연합회 회장] br"억지로 (맹꽁이) 개체를 잡아서 이주시켜도 그 공간이 맹꽁이가 서식할 수 있는 자연적인 환경이 아니면 전부 사망하고 맙니다." br br천성산 도롱뇽, 사패산 고란초, 영종도 철새에 이어 맹꽁이까지. br br개발 걸림돌이냐, 멸종위기에서 보호해야할 대상이냐를 둘러싼 갈등은 오늘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br br현장카메라 김태우입니다. br brPD 장동하 br영상취재 김영수br br br 김태우 기자 burnkim@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4

Uploaded: 2024-07-18

Duration: 02:3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