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신·신사업 '비상'...카카오 "경영 공백 최소화" / YTN

쇄신·신사업 '비상'...카카오 "경영 공백 최소화" / YTN

김범수 위원장이 구속되면서 수장을 잃은 카카오는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맞았습니다. br br 그룹 쇄신과 신사업 추진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카카오는 정신아 대표를 중심으로 경영 공백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br br 최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지난 18일, 임시 그룹협의회에 참석한 김범수 카카오 경영쇄신위원장은 "어떤 불법 행위도 지시하거나 용인한 적 없다"며 혐의를 강하게 부인했습니다. br br 그러면서 "구성원들이 힘을 합쳐 경영 쇄신과 인공지능 기반 혁신에 매진 중인 가운데 이 같은 상황을 맞아 안타깝다"고 말했습니다. br br 하지만 끝내 구속을 면치 못하면서 카카오는 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빠졌습니다. br br 당장 김 위원장이 진두지휘하던 그룹 쇄신 작업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br br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해 10월 비상경영을 선언하고 직접 경영쇄신위원장을 맡아 조직 정비에 공을 들여왔습니다. br br 도덕적 해이와 함께 여러 차례 지적받았던 문어발 확장이라는 꼬리표를 떼기 위해섭니다. br br [김범수 당시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 (지난 2022년 10월) : 카카오 계열사는 지난해 국감에서도 지적받은 사안이고 사실 방향성에 대해서 완전히 재검토해서 계열사를 줄이는 작업과….] br br 그 결과 계열사를 124개로 줄이는 등 일부 성과를 냈지만 김 위원장의 공백 사태로 동력을 잃게 됐습니다. br br 여기에 카카오가 속도를 내던 인공지능 서비스 등 신사업에도 먹구름이 꼈습니다. br br [허준영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YTN '뉴스START' 출연) : 카카오가 최근에 핵심 계열사들만 남기고 나머지는 또 매각한다. 그리고 AI 산업에 굉장히 많이 투자한다, 이런 것들이 있었는데 향후 매각 관련된 이슈들, 신산업 관련된 이슈들, 다음 먹거리 이슈들이 올스톱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br br 다만 정신아 대표와 계열사 대표들이 기존 사업을 이끌고 있어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 br br 앞서 정 대표는 엄중한 현실 인식 아래 꼭 해야 할 일들을 과감히 실행해 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br br 카카오는 첫 공식 입장을 내고 현재 상황이 안타깝지만 정신아 대표를 중심으로 경영 공백 최소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br br YTN 최아영입니다. br br br 영상편집 : 정치윤 br 디자인 : 이나은 br br br br br YTN 최아영 (cay24@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

Uploaded: 2024-07-23

Duration: 02:1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