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나우] 꺼지지 않는 '전기차 화재', 70여대 피해...위험성은? / YTN

[뉴스나우] 꺼지지 않는 '전기차 화재', 70여대 피해...위험성은? / YTN

■ 진행 : 정지웅 앵커 br ■ 출연 : 하성용 중부대학교 스마트모빌리티공학과 교수 br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NOW]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br br 앞서 보고 오신 전기차 화재 사건이최근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 전문가 연결해서더 자세히 들여다보겠습니다. 하성용 중부대학교 스마트모빌리티공학과 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교수님 나와 계시죠? br br [하용성] br 안녕하세요. 중부대학교 하성용입니다. br br br 안녕하십니까? 조금 전에 사고 영상을 보면서 질문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영상을 띄워주시고요. 어제 인천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건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아주 시뻘겋게 불길이 피어오르고 있는데요. 무려 70대가 넘는 차량이 불에 탔거든요. 화면을 보면 불이 잘 꺼지지 않는 것 같은데 이건 맞습니까? [하용성] 맞습니다. 우리 전기차 배터리 같은 경우에는 보통 완충시에 68~78킬로와트 정도 되니까 에너지원을 갖고 있거든요. 그래서 발생되는 과열에 대해서 화학적 반응을 촉진해서 산소 열 폭주 현상이 일어남으로써 화재진압에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은 관련 자료라든가 현 상황에 있어서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br br br 이번에 발생한 전기차 화재는 진화를 하는 데 8시간 이상 걸렸다고 하고요. 사실 전기차에 불이 발생하면 화재진압이 훨씬 어렵다는데 휘발유 차보다 더 어렵습니까? br br [하용성] br 앞서 말씀드린 전기적 에너지원이 일반적인 내연기관보다 많은 양을 갖고 있고 또 산소 없이도 열폭주가 발생되는데. 이럴 경우는 내부 에너지원이 소진될 때까지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리튬이온배터리 같은 경우 차체 하부에 장착되는 구조인 만큼 아무래도 화재 진압을 하는 경우도 많이 어렵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br br br 그런데 최근에 전기차 관련된 화재가 늘어나는 추세라고 하는데 이 부분은 맞습니까? br br [하용성] br 소방청 자료에 의하면 연간 운행차 등록 대수가 2600만 대거든요. 그래서 매년 5000대가량 화재 발생이 되고 있습니다. 물론 대부분 내연기관의 자동차인데 확률적으로 보면 전기차는 0.015 정도 되지만 아무래도 친환경차 기본 계획이라든가 다양한 정부의 드라이브로 전기차의 운행 대수가 늘어...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20

Uploaded: 2024-08-02

Duration: 05:4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