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보다]커지는 전기차 공포…대책 서두르는 세계

[세계를 보다]커지는 전기차 공포…대책 서두르는 세계

ppbr br [앵커]br잇따른 전기차 화재로 전기차 포비아가 세계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br  br안정성 논란에 부랴부랴 대책을 세우고 있습니다. br br세계를 보다, 송진섭 기자입니다. brbr[기자]br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벵갈루루. brbr길에 주차 돼 있던 소형 전기자동차가 폭발해 거리가 화염에 휩싸였습니다.br br활활 타오르는 가운데서도 차량 밑 부분에서 추가 폭발이 일어나 불꽃이 터져 나옵니다. brbr소방관들이 급히 출동해 진압에 나섰지만 차는 뼈대만 남고 모두 불에 탔습니다. brbr이에 앞서 인도 델리의 한 지상 공용 주차장 내 전기차 충전소에서 폭발이 일어나 함께 주차 돼 있던 차 100여 대가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녹아내렸습니다. br br인도 내 전기차 보급률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만큼 전기차 관련사건 사고도 잇따르고 있습니다.br br갑자기 흰색 연기가 피어오르더니 순식간에 차가 폭발하고 시뻘건 불길에 휩싸입니다. br br중국 상하이의 한 지하 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폭발 사고입니다. br br세계 점유율 60에 육박하는 글로벌 최대 전기차 시장 중국에선 올해 1~3월 전기차 화재 신고 건수만 3640건에 달했습니다.br br유럽도 마찬가지입니다. 올해 1월 영국 런던에서는 출근 시간 갑자기 전기 버스에서 불이 나 도로가 봉쇄되기도 했습니다. br br예상치 못한 전기차 사고에 각국은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br br인도는 무인주차장이나 지하주차장 같은 특정 구역에서 전기차 충전을 못하도록 하는 법안 도입을 검토 중입니다. br br이에 앞서 인도 전기차 충전소 협회는 배터리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칩 삽입을 제안하기도 했습니다.br br유럽에선 배터리의 제조, 폐기, 재활용 정보를 라벨이나 QR코드에 반드시 담도록 하는 이른바 ‘배터리 여권’ 제도를 만들어 2027년부터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br br우리나라도 이달 13일 모든 차량 제조사에 배터리 정보를 자발적으로 공개하도록 권고를 내렸습니다. br br차량에 담요를 덮어 산소를 차단하는 질식 소화포도 각국에서 도입에 나섰습니다. brbr[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br"세계적으로 확실하게 빨리 끌 수 있다는 방법은 규정돼 있지 않아요. 기본부터 잘 돼야지 되는 상황이라고 봅니다." br br전문가들은 초기 진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건물 내 기본 방재 시설 점검을 더 면밀히 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br br세계를보다 송진섭입니다. br br영상편집: 강 민br br br 송진섭 기자 husband@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22K

Uploaded: 2024-08-18

Duration: 03:0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