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하' 집값 자극엔 제한적...대출 규제가 관건 / YTN

'금리 인하' 집값 자극엔 제한적...대출 규제가 관건 / YTN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리면서 한동안 주춤했던 서울 집값이 다시 뛰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고 있죠. br br 그러나 정부가 강력한 대출 규제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금리 인하가 집값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제한적일 거라는 진단이 유력합니다. br br 김기봉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올해 초 강남 3구에서 출발해 서울 전역과 수도권으로 거세게 퍼졌던 아파트값 상승세! br br 여름을 지나면서 기세가 꺾여 br br 7월 9천 건에 육박했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9월엔 3천 건 선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고, 주간 매매가 상승폭도 0.1로 약해졌습니다. br br 이런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하는 부동산 시장에 호재이긴 하지만, 영향은 미약할 거라는 판단입니다. br br 미 연준 금리 인하와 그에 따른 국내 금리 연동은 올해 상반기부터 예상돼 이미 주택시장에 반영됐고, 이번 금리 인하 폭이 개인의 집 구매 판단을 바꿀 만큼 큰 수준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br br 무엇보다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로 금리 인하 자체가 큰 의미가 없다는 진단입니다. br br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지금은 금리보다 정부의 대출 규제 즉, 개별 차주에게 필요한 만큼의 대출이 나오느냐가 더 중요한 상황입니다. 일단 대출이 나온 다음에 금리가 얼마인지가 의미가 있는 겁니다.] br br 이미 올라버린 집값에 대출도 막히면서 관망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쉽게 바뀌기는 어렵다는 관측입니다. br br 하지만 금리 인하 기조가 유지된다면 집값 상승 압력에 힘이 실릴 수밖에 없습니다. br br 집값이 다시 뛸 수 있는 상황적 여건이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br br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교수 : 금리 인하가 추후에 또 단행이 될 경우 점진적인 분위기는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어차피 시장 자체의 공급 부족이라든가 전세 가격 상승에 따른 시장 분위기가 바닥에 깔려 있는 데다가 유동성 유입이라든가 전체적인 분위기가 개선되면서] br br 전문가들은 대체로 올해 상반기에 치고 오른 집값이 당분간 강보합세를 보이다 향후 금리 추이에 따라 완만한 상승세로 이어질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br br YTN 김기봉입니다. br br br 영상편집 : 이은경 br br 디자인 : 백승민 br br br br br br YTN 김기봉 (jelee@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0

Uploaded: 2024-10-11

Duration: 02:3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