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앞둔 교사 죽음으로 드러난 특수교육 현실 / YTN

결혼 앞둔 교사 죽음으로 드러난 특수교육 현실 / YTN

지난달 말, 격무를 호소하던 초등학교 특수교사가 스스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br br 동료 교사들과 학부모들은 과밀학급 문제를 해소하고 교사들의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나섰습니다. br br 김이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br [기자] br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10년 차 특수교사 김태정 씨는 재작년 정원보다 많은 학생을 맡아 힘든 시기를 보냈습니다. br br 특수교육법에 따라 한 학급당 정원은 6명이지만 당시 7명을 담당하며 지도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br br 일반학급에서 수업받는 다른 장애아동들의 행정 업무까지 해야 해 부담이 컸습니다. br br [김태정 10년 차 특수교사 : 1명이 늘어나게 되면 일반 학급 학생 30명을 기준으로 할 때 일반 학급에서 5명이 늘어나는 거거든요.] br br 정원을 초과하는 특수학급 문제로 고통을 겪는 사례는 이뿐만이 아닙니다. br br 지난달 인천에서 결혼을 앞둔 4년 차 특수교사가 스스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br br 중증장애 아동을 포함해 학생 8명을 담당하고 있던 고인은 생전 여러 차례 부담을 호소했습니다. br br 20시간에서 22시간인 초등학교 교사의 주 평균 수업 시간을 넘겨 주 29시간 수업을 진행하고 지원인력 관리 등 행정 업무도 과도하다며 힘들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br br [18년 차 특수교사 : 지원 인력은 한정적이거든요. 그리고 그 지원 인력을 관리하고 운용하는 것도 특수교사 업무 중의 하나예요.] br br 인천시교육청은 사망 사건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리고 특별감사에 나선 가운데, 이 사건을 계기로 장애아동 부모들도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나섰습니다. br br 특수교사 수를 늘리고 법에 규정된 학급당 인원을 지키지 않으면 제재해 달라고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br br [김윤경 인천장애인부모연대 회장 : 교사 지원 여력이 있는데 왜 돌아가시기 전에는 지원하지 않았을까 하는 안타까움이 있고…. 교육의 환경이 그리고 (교사의) 만족도가 저희 아이들한테 직접적으로 저는 다가온다고 생각을 하고요.] br br 2022 8.8, 2023 9.9, 2024 10.1 br br 전국에 있는 특수학급 가운데 정원을 초과한 과밀학급의 비율은 지난 3년간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br br 젊은 교사의 죽음 이후, 꾸준히 지적받아온 열악한 특수교육 여건이 개선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br br YTN 김이영입니다. br br br 촬영기자 : 박진우 br 디자인 : 이원희 br br br br br br YTN 김이영 (kimyy0820@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6K

Uploaded: 2024-11-09

Duration: 02:2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