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새 분류 체계 등장..."최적화된 치료 찾는다" / YTN

유방암 새 분류 체계 등장..."최적화된 치료 찾는다" / YTN

국내 여성들이 겪는 암 가운데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유방암입니다. br br 최근 유방암의 종류를 새롭게 분류하는 체계와 그에 맞는 치료제가 확인돼 환자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br br 아직 보험 처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비용 부담이 큰 상황입니다. br br 김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유방암은 국내 여성 암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으로 여성 암 환자 다섯 가운데 한 명이 유방암 환자일 정도입니다. br br 유방암에도 여러 분류법이 있는데, 암세포에 허투(HER2)라는 유전자가 있느냐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br br 과거에는 허투 유전자가 많으면 양성, 없으면 음성으로 분류했고, 특정 기준에 못 미치면 '저발현'이라고 부르며 음성 환자와 같이 치료했습니다. br br [김지연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 : 허투 저발현이 있다 하더라도 허투는 치료의 대상이 되지 않고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혹은 삼중음성 유방암으로 나뉘어서 치료를 받았습니다.] br br 그런데 최근 양성 환자를 위해 개발된 치료제가 저발현 환자에게 효과가 큰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br br 유방암에서 시작돼 위로 전이까지 됐던 50대 문 씨도 저발현 환자로 분류되면서 치료 방식을 바꿨고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br br [문모씨 허투 저발현 유방암 환자 : 저 지금 컨디션은 너무 좋아요. 운동도 매일 산에 다니고….] br br 실제 저발현 환자에게 해당 치료제를 썼을 때 병세가 진행되지 않고 생존하는 '무진행생존기간'이 10개월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습니다. br br 전체 유방암 환자 가운데 절반이 저발현 환자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기대 효과는 더 큽니다. br br 문제는 부담스러운 비용입니다. br br 저발현 환자들에게는 보험 급여가 적용되지 않아 한 해에 약값만 5천만 원 가까이 들 정도입니다. br br [문모씨 허투 저발현 유방암 환자 : 50대가 원래 경제 활동을 가장 활발하게 해야 할 때인데 경제 활동도 못하는 데다가 치료비가 정말 3주에 한 번씩 카드 결제로….] br br 저발현 환자들도 해당 약제를 급여처리 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국회 청원에 5만 명 넘게 동의하면서 국회 소관 상임위 논의를 앞두고 있는 상황. br br 하지만 정부가 최종 결정하는 급여화가 언제쯤 가능할지는 불투명하기만 합니다. br br YTN 김주영입니다. br br br br br br YTN 김주영 (kimjy0810@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5

Uploaded: 2024-11-24

Duration: 02:1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