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이틀 전부터 철수까지...'막전막후' 계엄군 시간표 / YTN

최소 이틀 전부터 철수까지...'막전막후' 계엄군 시간표 / YTN

비상계엄 전후로, 계엄군 준비 정황부터 철수까지 당시 지휘관들의 진술을 통해 윤곽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br br 박희재 기자가 현재까지 공개된 증언을 토대로 계엄군의 시간표를 재구성해봤습니다. br br [기자] br 45년 만에 등장한 계엄군, br br 현재까지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첫 임무 부여는 최소 계엄령 선포 이틀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br br [곽종근 특수전사령관(10일) : 6개에 대한 임무를 받은 시점이 일요일 12월 1일 정도였습니다.] br br [이경민 국군방첩사령부 참모장(10일) : (12월 1일 날 사령관이 휴가 후 돌아와서 북한 도발에 임박한 빌미로 대령급 실장들에게 통신상으로 지시 대기를 내렸지요?) 예, 그렇습니다.] br br 국회로 투입될 예정이던 특수전 부대원들은 계엄령 선포 몇 시간 전 br br 평소보다 강도가 높은 비상소집 훈련이 진행됐습니다. br br [김현태 707 특수임무단장(9일) : 그날 저녁 7시 50분에 비상을 걸었습니다. 저희는 1시간 안에 출동 완료해야 하기 때문에…] br br 계엄 직후 발표된 포고령은 이즈음까지 차근차근 검토가 이뤄졌을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하지만 누가 어떻게 작성했는지, 여전히 미궁입니다. br br [박안수 육군참모총장(당시 계엄사령관) : (포고령 본인이 작성한 것 맞아요? 윤석열 대통령이 작성해 준 거 아니에요?) 잘 모르겠습니다.] br br 그리고 12월 3일 밤 10시 28분, 대통령의 기습적인 계엄선포. br br [대통령(3일) : 자유 헌정 질서를 지키기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합니다.] br br 그리고 직후 최소 6곳으로 투입된 계엄군들의 진입. br br 하지만, 국회에서 계엄해제 요구안이 의결되고, 비상계엄은 2시간 반 만에 막을 내립니다. br br [우원식 국회의장(4일) : 재석 190인 중 찬성 190인으로 비상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은 가결됐음을 선포합니다.] br br 계엄 당시 국회로 투입된 특수전 대원들은 인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거부했고, br br 중앙선관위로 향했던 방첩사 요원들은, 현장을 이탈해 편의점으로 향하는 등 지시를 소극적으로 이행하기도 했습니다. br br 이후 새벽 3시가 다 되어서 국회를 떠난 특수전 대원을 비롯해, 수도권 각지에서 '철수 작전'이 이뤄졌습니다. br br 대통령과 장관의 지시를 대부분 따랐던 계엄군 핵심 지휘부들. br br 결정적인 순간에 항명한 정황도 눈에 띄지만, 자의든 타의든 '계엄 가해자'로서 그 심판 자체는 불가피해졌습니다. br br [김현태 707 특수임무... (중략)br br YTN 박희재 (parkhj0221@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3

Uploaded: 2024-12-11

Duration: 03:0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