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어제부터 ‘초고령 사회’…65세 이상 20%

대한민국, 어제부터 ‘초고령 사회’…65세 이상 20%

ppbr br [앵커]br이렇게 활력을 잃은 일본 경제, 남의 일만은 아니죠. br br어제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20를 넘었습니다.br br우리도 이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겁니다. br br강태연 기자입니다. brbr[기자]br개관을 이틀 앞둔 서울 강남구의 시니어센터입니다. br br1980년에 지어진 경로당을 요즘 어르신 수요에 맞게 개조했습니다. br br[하수현 강남구 은곡시니어센터장] br"경로당은 어르신들이 오셔서 식사나 담소를 나누는 그러한 공간이잖아요. 어르신 복합 문화 시설로 여가, 건강, 배움 이런 교육을 받으시고…." br br로봇을 상대로 바둑을 둘 수 있고, br br[현장음] br"대국을 시작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br br돌봄 로봇은 치매 예방에 좋은 활동을 안내합니다. br br[현장음] br"원하시는 놀이 카드를 주머니에 넣어주세요." br br발레나 모델 워킹, 스마트폰 활용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도 마련해 놨습니다. br br전국 곳곳의 경로당이 문화시설로 탈바꿈하는 배경에는 고령 인구 증가가 있습니다. brbr어제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1천 24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했습니다. br br유엔이 정한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겁니다.brbr고령사회까지 17년이 걸렸지만 초고령사회까지는 단 7년이 걸렸습니다.br br[구정우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br"정년 연장이라든가 경제활동 인구를 계속 더 줄어들지 않도록 하는 게 필요하고요. 노인들과 이제 젊은 세대가 어떻게 함께 공존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성찰이 필요하다." br br재정 부담 대책과 별개로 어르신에 대한 편견 해소 등 세대 갈등을 줄이는 대책도 선행되어야 한다는 조언입니다. br br채널A 뉴스 강태연입니다. br br영상취재: 한일웅 br영상편집: 정다은br br br 강태연 기자 tango@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0

Uploaded: 2024-12-24

Duration: 02:0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