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40년 경력 기장 “콘크리트 둔덕 처음 봐”

美 40년 경력 기장 “콘크리트 둔덕 처음 봐”

ppbr br [앵커]br해외 항공 전문가들도 이번 여객기 참사를 주의깊게 보고 있는데요.brbr40년 넘는 경력의 미국 항공기 전문가는 콘크리트 둔덕을 가장 이해할 수 없는 부분으로 꼽았습니다.br br워싱턴에서 최주현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brbr[기자]br미 공군 조종사를 시작으로 세계 최대 항공사 아메리칸 항공에서 기장 등 41년 경력을 가진 미 항공기 전문가 리처드 레비.br br현재 미 보잉 737 교관인 그는 이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원인을 묻자 콘크리트 구조물로 지은 둔덕에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br br[리처드 레비 미국 항공기 전문가] br"(콘크리트 구조물 같은 것을 본 적 있나요?) 전혀요. 시멘트로 지지되는 경우는 처음 봤습니다. 부서지거나 구부러지거나 심지어 파괴될 수 있는 구조물이어야 합니다." br br특히 초기 사고 원인으로 지목됐던 ‘조류 충돌’만으로는 대형 사고가 발생하기 어렵다는 겁니다. brbr[리처드 레비 미국 항공기 전문가] br"(새가 충돌해도) 왼쪽 엔진에는 큰 유압 펌프가 있습니다. 왼쪽 엔진이 출력을 못내도 또 다른 전기식 유압 펌프가 있어 착륙 장치를 내릴 충분한 힘을 가지고 있어요." br br다만, 항공기 전문가로서 당시 상황이 동체 착륙을 해야 했던 상황으로는 보이지 않는다며 결정 과정이 밝혀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br br[리처드 레비 미국 항공기 전문가] br"동체 착륙은 착륙 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최후의 수단입니다. 하지만 저는 이번 사고가 그 상황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동체 착륙을 한 다른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br br그는 무안국제공항처럼 규모가 작고 활주로가 짧은 공항일수록 한국에도 활주로 이탈 방지 시스템 이마스(EMAS)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br br[리처드 레비 미국 항공기 전문가] br"부서지기 쉬운 재질로 만들어집니다. 비행기는 파손될 수 있습니다만 비행기보다 더 중요한 것은 생명이니까요." br br그는 미국 내에서도 이번 사고가 이례적인 대형 참사로 여겨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br br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현입니다. br br영상취재: 정명환(VJ) br영상편집: 구혜정br br br 최주현 기자 choigo@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3

Uploaded: 2024-12-31

Duration: 02:1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