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보다는 교감"...사회 속 정신 건강 치료 / YTN

"격리보다는 교감"...사회 속 정신 건강 치료 / YTN

우리 사회에서는 정신질환이 심한 환자의 경우 흔히 치료 시설 등에 격리하는 방법을 떠올리곤 합니다. br br 하지만 국가가 정신질환을 직접 관리하는 네덜란드에서는 자연이나 사람들과의 교감을 통해 궁극적으로 사회로 다시 돌아갈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br br 김주영 기자가 현장을 찾아가 봤습니다. br br [기자] br 네덜란드의 중소도시 즈볼러에 있는 '치유농장'입니다. br br 농장에서 사람들은 돼지, 조랑말, 알파카 등을 돌보거나 소소한 농작물을 키우고, 아이들은 그룹을 꾸려 농장 체험도 합니다. br br [에스더 펀 개펜 우울증, 자원봉사자 : 우리는 급여를 받지는 않지만, 동물들을 돕는 것만으로도 우리에게는 충분히 보람 있는 일입니다.] br br 그런데 이곳에서 지내는 사람들은 대부분 우울증이나 불안 증세 등 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들입니다. br br 동물을 키우고 자연과 교감하면서 안정감을 찾고, 이를 통해 정신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br br [에스더 펀 개펜 우울증, 자원봉사자 : 현재 일을 할 수 없거나 건강이 좋지 않아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돕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어요.] br br 물론 네덜란드에서도 심한 정신질환자들은 따로 시설을 만들어 격리합니다. br br 하지만 시설 운용 방식은 우리와 크게 다릅니다. br br 범죄를 저질렀거나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 180명을 수용하는 이 시설에서, br br 환자들은 병실이 아닌 전자게임기와 같은 여가 용품도 사용 가능한 개인적인 공간을 이용합니다. br br 치료도 자발성을 중시하고 가족들과 주기적으로 만나며 사회성을 잃지 않도록 합니다. br br [펠로리 엘레마 정신질환 치료·감호시설 법률 담당자 : 환자들은 집으로 돌아가고 싶어 하고 사회로 돌아가 일반적인 삶을 살고 싶어 합니다. 그것이 환자들의 자발적 치료에 큰 동기가 되는 것이죠.] br br 사회로부터 떼어 놓는 것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치료를 통해 사회생활에 문제가 없도록 만든 뒤 다시 사회로 돌려보내는 역할을 하는 겁니다. br br 실제 이 시설의 범죄자 재범률은 18로 네덜란드 일반 교도소 재범률의 절반에도 미치지 않습니다. br br [핼크 스툴프 비아 대학교 사회복지학 교수 : 네덜란드도 그랬습니다. 우리가 지금 환자들을 사회와 연결시키려 하는 것도, 환자들이 기존에 상당히 의존적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될 경우 완전히 사람들의 능력을 잃어버리게 되고, ... (중략)br br YTN 김주영 (kimjy0810@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

Uploaded: 2025-01-12

Duration: 02:4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