꽁꽁 언 부동산 시장에 '공급 절벽'...시장불안 우려 / YTN

꽁꽁 언 부동산 시장에 '공급 절벽'...시장불안 우려 / YTN

부동산 시장의 침체 속에 올해 민간 아파트 분양이 역대 최소 수준을 기록할 전망입니다. br br 서울의 주택보급률도 4년 연속 하락하는 등 공급 절벽 여파가 이어지며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br br 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br [기자] br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부동산 침체 현상은 새해 들어 더 심해지고 있습니다. br br 꽁꽁 얼어붙은 시장 분위기에 건설사들은 신규 공급을 주저하고 있습니다. br br 올해 국내 25개 민영 건설사들이 계획 중인 아파트 분양 물량은 전국 15만 가구에 못 미쳐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은 수준입니다. br br 급등한 건설 비용도 공급 부족 현상을 부채질하는 주요 원인입니다. br br 지난해 11월 집계한 건설 공사비 지수는 4년 전보다 무려 29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br 공급 부족 여파로 서울은 주택 수가 전체 가구 수 대비 93 수준에 그치며 4년째 주택보급률 내림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br br 문제는 이런 현상이 2, 3년 뒤에는 시장에 더 큰 불안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br br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 : 최근 인허가 착공이 평년대비 적은 편이었기 때문에 결국 2, 3년 뒤에 주택공급 부족을 일으킬 수 있겠습니다. 주택 가격 상승이라든지 전·월세 가격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겠습니다.] br br 올 상반기엔 한국은행 기준금리와 시중은행 가산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지면서 대출 숨통이 트일 거란 기대도 있습니다. br br 하지만 이 정도로는 부동산 시장에 온기를 불어넣긴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대부분입니다. br br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 : 일부 대출 문턱이 낮아진다고 하더라도 정치적 불확실성이 여전하고 금융시장 불안도 겹쳐 있어서 아마 (부동산) 거래가 크게 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br br 주택 매매 수요와 공급이 모두 멈춰선 가운데 더 큰 시장 불안을 막으려면 정부가 지금부터 일관된 정책 신호를 꾸준히 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YTN 김태민입니다. br br br br br br br YTN 김태민 (jelee@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25-01-12

Duration: 01:57

Your Page Title